} } // alert("isSame : "+isSame); if(!isSame){ if(item2 == null ) { item2 = item1; item1 = keyword; localStorage.setItem("item1",item1); localStorage.setItem("item2",item2); } else if(item3 == null) { item3 = item2; item2 = item1; item1 = keyword; localStorage.setItem("item1",item1); localStorage.setItem("item2",item2); localStorage.setItem("item3",item3); } else if(item4 == null) { item4 = item3; item3 = item2; item2 = item1; item1 = keyword; localStorage.setItem("item1",item1); localStorage.setItem("item2",item2); localStorage.setItem("item3",item3); localStorage.setItem("item4",item4); } else{ item5 = item4; item4 = item3; item3 = item2; item2 = item1; item1 = keyword; localStorage.setItem("item1",item1); localStorage.setItem("item2",item2); localStorage.setItem("item3",item3); localStorage.setItem("item4",item4); localStorage.setItem("item5",item5); } } }else{ //저장되어있지 않을 경우 저장한다. // alert("저장값 없음") localStorage.setItem("item1",keyword); } //frm.action = "/user/search/hangeulSearch.jsp"; frm.action = "/user/search/integratedSearch.do"; frm.method = "get"; frm.submit(); } } function fnEnterTop() { var frm = document.frm_top; if ($("#total_search_text").val() != '') { document.onkeyup = function(e) { if(typeof(e) != "undefined") { if(e.which == 13) { fnSearchTop(); } } else { if(event.keyCode == 13) { fnSearchTop(); } } } } } function XSS_CSRF_Check(strTemp, level) { if ( level == undefined || level == 0 ) { strTemp = strTemp.replace(/\<|\>|\"|\'|\%|\;|\(|\)|\&|\+|\-/g, ""); }else if (level != undefined && level == 1) { strTemp = strTemp.replace("<", "<"); strTemp = strTemp.replace(">", ">"); } return strTemp; } function checkDownload(){ var check = $("#r-check").is(":checked"); if(!check){ alert("저작권 안내를 읽으세요."); return false; }else{ $('a#fileId').attr({target: '_blank', href : '/file/한글누리_글꼴.zip'}); } } function setButton(param){ if($("input:checkbox[id='r-check']").is(":checked") == true){ $("#fileIdBt").addClass("_active"); }else{ $("#fileIdBt").removeClass("_active"); } } //]]>

국립한글박물관 로고

본문영역

소장 자료 검색

홈 > 소장자료 > 소장품 검색 > 소장 자료 검색

기증자
송세영 송미경
기증일자
2014-12-24
수량(점)
2
대표자료
송기주 4벌식 한글 타자기
파일첨부

1933년 송기주가 뉴욕의 타자기 제조회사인 언더우드사(Underwood-Elliott-Fisher Co.)와 함께 만든 4벌식 한글 타자기.
타자기와 가죽 케이스로 구성.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로 언더우드사의 타자기에 4벌식 한글 자판을 조립해 제작함.

입력부는 가로쓰기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출력은 세로쓰기로 됨.


송기주는 연희전문학교 출신으로 미국 유학 시절부터 미국의 타자기를 활용하여 우리 한글도 기계화를 이룰 수 있겠다고 생각하였다. 그 생각을 실현하고자 첫 한글 타자기를 발명(1929)하였으나 일반인에게는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 후 꾸준히 연구하여 4벌식 한글 자판을 갖춘 타자기를 선보였다. 이 타자기는 언더우드 타자기 회사와 공조하여 발명한 것으로 옆으로 찍어 세로로 읽는 한글 모아 찍기를 하는 타자기이다. 자음 3벌과 모음 1벌을 합쳐 4벌의 한글 자판으로, 나타나는 글자 모양이 빨랫줄에 넣어놓은 빨래처럼 들쑥날쑥 보이는 특징이 있다. 송기주가 개발한 한글 타자기는 언론의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1934년 《동아일보》 《조 선일보》 등이 송기주의 타자기 소식을 일제히 다루었고, 이광수는 《조선일보》에 「송기주씨 의 한글 타자기」라는 글을 기고하여 한글 타자기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송기주는 6·25 전쟁이 발발하자 아쉽게도 납북되었다. 당시 한글 풀어 찍기와 모아 찍기를 연구하는 한편, 영문 드보락 글자판에 관한 많은 자료도 소장했다고 한다. 지금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소장한 송기주 개발 4벌식 한글 타자기는 그의 자녀인 송세영·송미경에게서 기증받은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국가기술표준원 컴퓨터글자판전문위원회 위원장 조석환) 

공유하기
트위터 트윗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주소복사
목록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별점3개

별점2개

별점1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보내기
담당부서:
자료관리팀 (전화번호: 02-2124-6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