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분청자조화초문병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자조화초문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가리가 좁고 목이 길며 몸통이 긴 기형으로 주로 액체를 담는 분청자로 제작한 용기. <발달과정/역사> 병은 삼국시대 이후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도자 기형 중에서 가장 큰 발전을 하며 다양한 형태로 계속 제작되었다.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면서 종류가 다양해지고‚ 형상의 대소(?小)와 용도에 따른 각기 독특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주로 액체를 담아서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용기로서 용도에 따라 크게 주병(酒甁)‚ 장병(醬甁)‚ 유병(油甁)‚ 수병(水甁)‚ 화병(花甁)‚ 기타 용도의 병으로 나눌 수가 있다.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위에 정선된 백토로 표면을 분장한 뒤 유약을 입혀 환원염에서 구워낸 분청자병은 조선 전기인 15∼16세기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는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다. 청자에서 백자로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그릇표면에 백토를 분장하는 방식에 따라 상감‚ 분청상감‚ 분청인화‚ 분청박지‚ 분청음각‚ 분청철화‚ 분청귀얄‚ 분청담금(덤벙)으로 구분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나팔형 구연에 밑이 풍만한 동체를 가진 병으로 전면(全面)을 백토로 귀얄을 이용하여 엷게 분장하였다. 목과 어깨의 경계에 얕게 음각선(陰刻線)을 돌리고 그 아래 다시 2줄의 음각선(陰刻線)을 돌려 공간을 구획한 후 그 공간 속에 연판문대(蓮瓣紋帶)를 새겨 넣었다. 조화기법이다. 동체에는 크고 넓게 잎을 새겨 놓았다. 하단에는 3개의 음각선(陰刻線)을 돌리고 있다. 직립한 굽의 접지면(接地面)은 정연하지 못하다. 동체 하단에서부터는 유약이 시유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