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그네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그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수확한 벼의 알곡을 훑는 데 쓰는 연장. <발달과정/역사> ≪해동농서(涇東農書)≫의 ‘그네(稻箸)’나 ≪농정촬요(農政撮要)≫의 ‘도발(稻拔)’은 이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해동농서≫의 ‘도저(稻箸)’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면 그네는 벼훑이에서 나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것은 지역에 따라 ‘기네·베홀깨’·(이상 인천광역시 덕적)‚ ‘훌챙이·치개’(이상 충청북도 봉양)‚ ‘청치기개·찌깨·첨치’(이상 충청남도 서산)‚ ‘왜홀태’(전라남도 보성)‚ ‘벼훑이’(전라북도 봉동)‚ ‘호리깨’(경상북도 안강)‚ ‘홀태’(전라남도)라고도 한다. 길고 두툼한 각목의 앞·뒤쪽에 네 개의 다리를 달아 가위다리 모양으로 떠받치게 하고‚ 빗살처럼 날이 촘촘한 쇠틀을 몸에 끼웠다. 경상남도 영산에서는 작업 중에 틀이 흔들리지 않도록 몸 양편에서 줄을 늘이고 발판을 달아서 일하는 사람은 한 발로 발판을 밟는데 이 모습이 그네와 같다고 하여 이름이 그네라 붙여졌다. 덕적에서는 앞발 중간에 막대를 가로대고‚ 이에 의지하여 발판을 놓아 사용한다. 날과 날 사이에 볏대를 넣고 훑어내면 나락이 떨어진다. 주로 여자들이 사용하는데‚ 하루에 벼 여섯 가마 정도를 떨어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앞쪽의 짧은 다리 2개‚ 뒤쪽의 긴 다리 2개 모두 4개의 다리가 달려 있다. 이 다리들은 가로 8.6㎝‚ 세로 5.7㎝의 두툼한 각목에 홈을 파고 그곳에 끼워 넣어서 연결되어있다. 뒤쪽 다리에는 중간에 나무막대기를 대어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제작하였다. 두툼한 각목의 앞쪽으로 폭 32.6㎝의 빗처럼 생긴 날을 달아놓고 각목과 뒤쪽 다리의 이음새 부분에 길이 87㎝의 새끼줄을 땅에서 살짝 들리도록 걸어 놓았다. 벼의 이삭이 달린 부분을 날 사이에 걸쳐 잡아당겨 훑어내면 나락이 떨어진다. 이때 걸린 줄을 밟아 연장이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을 수 있다. <참고문헌> 농협중앙회 농업박물관‚《농업박물관》‚ 2005.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