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가옥문전

추천0 조회수 4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가옥문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전돌은 점토로 성형되어 가마 속에서 높은 온도로 구위 만든 건축 용재이다. 예로부터 무덤이나 지상 건조물의 축조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제작‚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기와와 함께 주요한 건축부재의 하나가 되고 있다. 전돌은 흔히 전벽돌 또는 벽돌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벽돌은 요즘의 블록(block)과 같이 건물의 벽체를 쌓거나 보도용으로 주로 쓰이는 데 반해‚ 전돌은 무덤이나 지상 건조물의 축조에 사용되어 그 전통이나 쓰임새‚ 형태 면에서 약간씩 차이를 보인다. 용도나 형태‚ 무늬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는데 그 기능적인 특성 때문에 여러 방면에 전용되기도 한다. 전돌은 자연 건조시킨 날전돌과 불에 구워낸 소성 전돌로 구분 할 수 있다. 날전돌은 점토로 성형된 뒤 햇볕이나 그늘에서 말린 것으로 세계 각지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가장 오래된 날전돌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발견되었는데 기원전 6천년 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아 전돌의 사용이 상당히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소성전돌은 기원전 3천년경부터 보급되기 시작하였는데‚ 인더스강 유역의 고대 도시인 파키스탄의 모헨조다로 유적과 하라파 유적에서 기원전 2천 5백년경에 해당하는 전돌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전돌은 이와 같이 고대 문명의 발상지인 큰 강가를 중심으로 일찍부터 제작‚ 사용되었다. 대개 전돌이라고 하면 잘연 건조시킨 날전돌 보다는 가마 속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낸 소성전돌을 지칭한다. 전돌은 용도에 따라 무덤을 축조하기 위한 묘전돌‚ 지상 건조물의 실내외 바닥이나 기단에 부설되는 부전돌‚ 건물의 벽이나 성곽‚ 단을 쌓기 위한 벽전돌‚ 목탑의 하단이나 전탑을 축조하기 위한 탑전돌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특정한 장소에 한정되거나 그 용도가 바뀌어 사용되는 특수 전돌이 있다. 그런데 부전돌과 벽전돌 등은 궁전이나 성곽‚ 그리고 사원 건축에 기능적으로 구분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형태에 따라 네모꼴인 방형전돌과 세모꼴인 삼각형 전돌‚ 여러 모양으로 변형되는 이형 전돌로 구분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돌은 그 표면이나 측면에 새겨진 무늬에 따라 무늬가 없는 무문전돌과 여러 가지 다채로운 무늬가 새겨진 무늬전돌로 구분된다. 무늬 전돌은 다시 그 시문 단위에 따라 기하학무늬 전돌‚ 연꽃무늬 전돌‚ 보상화무늬 전돌‚ 당초무늬 전돌‚ 화엽무늬 전돌 등으로 세분되고 있다. 가옥문전의 일부 편으로 바탕흙은 회백색이며‚ 연질로 소성되었고‚ 모래 알갱이 등이 섞여 있다. 잘 다듬어진 표면 위에 가옥문이 시문된 전돌로 다소 마모되었으며‚ 문이나 지붕 표현 등도 세부적으로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