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조소공제묵

추천0 조회수 10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조소공제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벼루에 불을 붓고 갈아서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 데 쓰는 서화 용구(書怜用具). 검은색의 고형체로서 벼루에 갈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문방사우(文房四友)의 하나이다. 연매에 따라 기름을 태운 그을음을 가지고 만드는 유연묵(油煙墨)과 소나무를 태운 그을음으로 만드는 송연묵(松煙墨)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먹의 형태는 초기에는 둥글거나 원주형이었으며 점차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졌는데‚ 먹 위에 그림이나 문자를 새겨 장식했다. 먹을 제작한 시초는 분명하지 않다. 전해 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후한(後漢)의 서도가인 위탄(韋誕)이 발명했다고 하는데 은대(殷代)의 갑골(甲骨) 가운데 검거나 붉은 액체를 사용한 것이 출토되어 BC 2500년 이전에 먹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기록상으로도 위탄 이전의 책에서도 먹에 관한 기록이 발견되는데 이 때 사용한 먹은 석문(石墨)이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지금과 같이 탄소의 분말을 이용하여 만든 것은 한대 이후부터로 보인다. 중국의 먹‚ 특히 명·청대의 먹은 그 품질면에서는 이미 최고의 수준에 있고‚ 가치는 금·은이나 옥보다 존귀하게 여겨져‚ 생활속에서 옥기나 귀금속과 마찬가지로 완상 또는 문사용 존귀물이었으며 출토를 통해 나오는 것을 보면 부장용품으로도 상당한 위치에 있었던 귀물이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시대에 송연묵을 당나라에 세공으로 바쳤다는 기록이 ≪철경록≫에 나타나고 있어 삼국시대에 이미 먹이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 있어서 송연묵(숫먹·개먹)으로는 양덕(陽德)의 산품이 유명하고‚ 유연묵(참먹)은 해주의 것이 유명했다. 그리고 한림풍월(翰林風月)을 비롯하여 초룡주장(草龍?張)·부용당(芙蓉堂)·수양매월(首陽梅月) 등이 상품(上品)이었다. 대개 목판 인쇄에는 송연묵을 썼으며‚ 금속 활자 인쇄와 서예에는 주로 유연묵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中國名墨』‚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9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