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삼계연결장구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삼계연결장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삼계란 마구 중에서 재갈‚ 안장 등을 말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 가죽 등으로 된 끈을 말한다. 즉 재갈을 고정하기 위하여 말의 얼굴에 씌웠던 굴레와 안장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안장의 앞뒤에 연결되어 말의 가슴 쪽으로 돌린 끈인 가슴걸이와 엉덩이 쪽의 꼬리 밑으로 돌린 후걸이 등 세 개의 끈을 일괄하여 삼계라고 부른다. 삼계는 모두 가죽과 같은 유기질제의 끈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남아있는 예들은 거의 없다. 따라서 십금구나 운주 같은 장식구들은 기본적으로 이들 삼계의 끈들을 묶기 위한 장구들이므로 이들을 삼계 연결장구로 부르고자한다. <발달과정/역사> 인간이 말을 이용하게 된 것은 기원전 4000년 무렵의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당시 말의 이빨에서 재갈이 물린 흔적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말은 인간이 마구 장착 없이 기승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말의 이용은 마구의 탄생과 관련이 깊다. 그러나 마구는 처음부터 모든 것이 개발되었던 것은 아니다. 처음에는 재갈이 사용되다 점차 안장이‚ 그 다음에는 등자와 같은 것들이 사람들의 필요에 따라 개발되어졌다. 이러한 마구는 그 용도와 목적에 따라 크게 제어구‚ 안정구‚ 장식구의 세 가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운주나 행엽 등은 말을 장식하는데 사용되며 제어구‚ 안정구‚ 장식구는 모두 삼계라고 불려지는 끈에 의해서 연결되어 말에 장착하게 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형태는 방형을 띄는 혁대교구의 띠고리이다. 재질은 청동의 전면에 금박을 씌운 금동제품이다. 잔존상태는 양호하지만 금박에 일부 부식층이 형성되어 부식이 점차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외형적인 특징은 ‘一’자 형태를 휘어서 서로 맞닿게 한 단절된 상태라는 점이다. 문양은 외면에 인동초문을 간결하게 한 줄로 배치하였다. 출토지는 개성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대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전형적인 삼국시대의 마구형태에서 벗어나 있는데다 그 문양이나 형식에 있어서도 통일신라이후의 유물에서 나타나는 양식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조선시대의 마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장식과 형태이므로 고려시대의 장식화 된 마구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마사박물관‚ 2001‚『마사박물관도록』한국마사회. 이난영‚ 김두철‚ 1999‚『한국의 마구』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