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그릇받침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그릇받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바닥이 둥근 항아리 등의 그릇을 올리기 위해 만든 토기. <발달과정/역사> 백제의 원통형 그릇받침이 가야‚ 신라로 퍼진 듯 하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보통 받침과 몸통‚ 그리고 다리로 구성된다. 화로와 비슷한 화로모양그릇받침‚ 굽다리접시를 크게 확대한 모양의 바리모양그릇받침‚ 둥근고리와 비슷한 모양의 고리모양그릇받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굽다리 그룻받침과 원통모양 그릇받침은 신라‚가야 지역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지역성이 강한 편이다. 바리모양 혹은 굽접시모양은 4세기대에 등장하여 5세기 이후로 지역색이 강해지는데‚ 신라의 것은 깊은 받침을 가진 것이 지속되고‚ 가야의 것은 받침의 깊이가 깊은 것에서 얕아지는 것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 굽다리에서처럼 구멍이 뚫렸는데‚ 신라의 것은 상하 엇갈리게 배치되고‚ 네모꼴의 구멍을 가지지만‚ 대가야의 것은 상하 일렬로 배치되며‚ 세모꼴의 구멍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통모양은 역시 4세기대에 등장하나 크게 유행한 것은 5세기 이후이다. 신라의 것은 몸통에 둥근 돌출부를 두지 않았고‚ 다리가 몸통에서 그대로 연결되며 넓어져 몸통과 다리를 구분하기 어려운 형태적 특징을 갖는데 비하여‚ 가야지역의 것은 몸통과 다리가 분명히 구분되게 복발형의 다리를 하고 있으며‚ 몸통의 상위에 둥근 돌출부를 가진 특색이 있다. 대체로 의례용으로 제작된 것들이 많으며‚ 주로 5세기 이후 가야지역의 대형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고미술의 이해(김원룡‚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숭실대학교‚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