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말투구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말투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적의 공격으로부터 말을 보호하기 위한 무구. <발전과정/역사> 말투구는 앞 시기의 말머리를 장식하던 마면(馬面)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의 경우 고구려 벽화고분에서 보이는 말투구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나‚ 실물자료는 없고 모두 가야를 중심으로 한 영남지방에서 동북아시아 전체 말투구 출토량의 90%이상이 출토되었다. 말투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얼굴부분을 덮는 얼굴덮개부와 말머리 정수리부분과 귀를 가리는 챙‚ 볼을 가리는 볼가리개가 그것이다. 이들은 여러 장의 크고 작은 철판을 못으로 결합하였는데‚ 얼굴덮개부의 경우 눈 사이의 길쭉한 얼굴부분을 가리는 미간(眉間板)‚ 그 끝에서 코 부분을 가리는 비량판(鼻梁板)‚ 미간판 옆으로 굽어진 측판(側板)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안공(眼孔)은 보통 미간판과 측판에 걸쳐서 뚫려져 있다. 측판의 아래에는 2개 혹은 3개의 못을 1조로 하여 볼가리개와 연결하기 위한 경첩이 있다. 챙은 정수리 부분과 귀 부분을 덮는 철판을 서로 결합해서 만든 것으로 삼산형(三山形)이 기본이나(부산 복천동 10호분‚ 합천 옥전 28호분·M3호분‚ 일본 대곡고분 출토품)‚ 반원형(합천 옥전M1·M3호분 출토품)으로 된 것도 있다. 챙의 이면 중앙상부에는 기를 꽂을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를 `관금구(管金具)`라고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본 말투구는 모두 6매의 철판을 이용하여 얼굴덮개부와 챙‚ 볼가리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왼쪽 볼가리개는 삭아 없어졌다. 얼굴덮개부의 윗면은 평평하자민 눈부분은 약간 부풀어오른 느낌이며 코부분은 말의 콧구멍과 같은 모습으로 단면 Ω자상을 이루나 크게 벌어지지는 않았다. 그리고 눈과 코사이에는 약간 부풀어 오른 곳이 보인다. 챙은 가운데의 넓은 철판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되게 보다 작은 철판(귀가리개)을 붙였으나 귀가리개가 작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반원형과 삼화형(또는 삼산형)의 중간형태를 취한다. 볼가리개는 모두 1매씩의 철판을 잘라서 만들었으며 상단에는 얼굴덮개부와 연결시키기 위해 각각 2개씩의 장방형 금구(長方形 金具)를 내측에 대고 2개의 못으로 고정시켰으며‚ 하단 내측에도 같은 형태의 금구가 1개씩 붙어 있는데 이것은 말투구를 말머리 위에 덮어서 보다 단단하게 착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 옥전고분군 Ⅵ"‚ 1997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