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물미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물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창고달. 땅에 꽂거나 세우기 위해 창대 등의 끝에 끼어 맞추는 끝이 뾰족한 뿔모양의 쇠. <발달과정/역사> 4-6세기대 삼국의 각 고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물이다. 중국에서는 상대(商代)부터 제작하기 시작했으며 낙랑유적에서도 청동제 물미가 발견된다. 한국에서는 4세기대에 철제 물미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삼국시대에도 많이 출토되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한 증거는 『무예도보통지』와 같은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다. 철제 물미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신라와 가야지역 고분에서 부장품으로 많이 출토되고 있으며 그 형식도 다양하다. 고구려와 백제지역의 고분에서도 드물지만 출토 예가 있다. 물미의 형식으로는 단면 원형‚ 단면 능형‚ 짧은 형식‚ 방형 등이 있다. 창끝과 물미를 형태적으로 완벽하게 구분할 수는 없으며 때로 단면 방형의 형식에 있어서 흔히 쇠끌과 혼동될 여지가 있으나 출토 위치 등에 대한 관찰을 통해 삼국시대 고분 부장품으로 철제 물미가 자주 발견됨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그 지역적‚ 시기적 변화도 고찰할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자루를 끼우는 투겁 일부분과 선단부(先端部) 일부분이 결실되었다. 투겁의 내면에는 목질이 수착(銹着)되어 있다. <참고문헌>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Ⅲ"‚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