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바구니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바구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대나무나 싸리나무 또는 버드나무를 가늘게 쪼갠 `채`로 둥글게 결어 속이 깊숙하게 만든 그릇. [역사] 1527년(중종 22)에 간행된 ≪훈몽자회≫에는 `바고니`로‚ 1779년경에 나온 ≪한한청문감(韓漢?文鑑)≫에는 `바구레`로 올라 있다. 한편‚ 1827년(순조 27)경에 출간된 ≪임원경제지≫에는 `바군이`로 적으면서 다음과 같은 설명을 달았다. "오늘날 서울의 시장에서 오가는 이들은 타원형의 소롱(小籠 : 바군이)을 지녔는데 무릇 생선이나 채소를 여기에 담는다. 여자들은 왼쪽 겨드랑이에 끼고 남자들은 새끼줄을 달아가지고 다닌다. 한강 북쪽에서는 대가 나지 않아 싸리껍질을 벗겨 짜 만든다." [내용] 곳에 따라 보금치·바구리·바구미·바그미·보고니·보금지라고도 부른다. 곡물 따위의 농산물을 나르는 데 많이 쓰며 말리거나 갈무리용으로도 사용된다. 형태는 대나 싸리를 쪼개어 서로 어긋매끼게 엮어 속이 깊고 둥글게 만들었다. 테두리에는 대나무를 서너 겹 돌려서 손작이로도 쓴다. 지역에 따라서는 바닥을 든든하게 하기 위해 대쪽 서너개를 가로 끼워 두기도 한다. 이것은 허리에 끼거나 머리에 얹어 운반하지만 큰 것은 좌우에 새끼를 꿰어 어깨에 매어 나른다. 또‚ 조그맣게 물들인 챗가지로 무늬를 넣은 것을 꽃바구니라 하여 마른 물건을 담거나 나물 캐는 처녀들이 가지고 다니기도 한다. 요즈음은 죽세공으로 유명한 전라남도 담양지방에서 섬세한 세공을 하며 채색한 바구니를 생산‚ 외국에 수출도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