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청동유운점선문거울

추천0 조회수 12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유운점선문거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구리에 주석‚ 아연 등을 섞은 합금으로 만든 거울. [발달과정/역사] 청동기시대부터 만들기 시작하여 역사시대에도 그 모양과 형태를 바꾸어 가며 만들어졌다. 얼굴을 비추는 면은 반질반질하게 만들었고‚ 뒷면에는 꼭지가 달리거나 여러 가지 무늬 및 길상어 등을 새겨 장식하였다. 중국에서는 4000여 년 전 제가문화(濟家文化) 시기부터 거울이 등장하고 있고‚ 전국(戰國)시기에 성행한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세형동검(細形銅劍) 등화 함께 나오는 잔줄무늬거울(細文鏡‚ 粗文鏡)은 얼굴을 비추는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제례의식(제례의식)과 관련된 의식용 도구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른바 검(劍)‚ 경(鏡)‚ 옥(?) 등 권위의 상징으로서 최고 신분층의 소유물로 보아야 한다. 철기시대 이후 역사시기에 들어오면서 중국계통의 거울 특히 한나라 거울(漢鏡)이 들어오면서 이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거울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한국의 선사시대 동경은 조문경계통과 세문경계통의 두가지가 있는데‚ 조문경계통은 부여 연화리(蓮花里)‚ 대전 괴정동(槐亭?)‚ 아산 남성리(南城里)‚ 그리고 평양‚ 성천 등에서 나온 것이 있고‚ 세문경계통은 영암(靈岩)‚ 화순(和順) 등지에서 출토되었다. 조문경이 먼저 나타나고 그 뒤를 이어 세문경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철기시대 이후 한나라 계통의 거울이 출토되며‚ 한경을 본떠 만든 방제경도 함께 나온다. 한나라 거울은 전한경‚ 왕망경‚ 후한경 등이 있는데‚ 특히 거울 뒷면에 기년을 새기는 등 명문이 있는 자료는 유적의 연대를 가늠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동경의 제작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고려시대로서 종류와 양에서 압도적이다. 그러나 이 고려동경은 출토지나 출토상태가 거의 알려지지 않아서 연대추정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제작지가 중국인지 고려인지‚ 중국 것을 되부어서 만들었는지 불분명하여 복잡한 양상을 띤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동경의 형식은 앞면을 반들반들하게 하여 물체를 비쳐보도록 하였고 뒷면 중앙에는 꼭지를 두었으며 주위를 다양한 무늬로 장식하였다. 동경의 형태나 무늬는 시대에 따른 외래문화의 영향이나 공예기술의 발달에 의해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전체형태는 원형을 기본으로 하며‚ 그 밖에 정방형‚ 팔각형‚ 꽃잎형‚ 보주형‚ 종형‚ 병형 등 다양하며‚ 청동기시대에는 꼭지가 하나였던 것이 고려동경에서는 두 개 또는 여러 개의 꼭지로 된 것도 있다. 문양은 기하학무늬‚ 문자‚ 동·식물‚ 인물 등이 다양하세 사용되었다. 이 동경은 꼭지 하나(單紐)에 유좌(紐座)를 갖춘 원형(圓形) 동셩(銅鏡)으로‚ 내구(內區)에는 유운점선문(流雲鮎線文)이 양각(陽刻)되어 있다. 주연(周緣)은 높고 약간 두텁다. 부식이 심하면 전면에 녹청색의 녹이 덮혀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