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程子冠

추천0 조회수 10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程子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대개 사대부는 평상시에도 갓을 쓰고 사람을 접대하는 것을 예의로 삼았는데 이를 거추장스럽게 생각하면서‚ 중국의 여러 종류의 관(冠) 중에서 한 두 가지를 들여다 갓 대신으로 맨상투바람을 면하는데 사용한 것이 관의 시초가 되었다한다. 그러므로 이는 집안에서만 착용하였다. 사인(士人)의 평거복으로 사대부들은 흔히 방관(方冠 : 方巾)·정자관(程子冠)·동파관(東坡冠)·충정관(沖正冠) 등을 착용하였다. 정자관(程子冠)은 조선시대 사대부와 유생들 사이에 유행한 관모의 하나이다. 중국에서는 정자건이라고 하는데‚ 정자(丁字)는 북송의 대유학자인 정호(程顥 : 1032∼1085)·정이 (程 : 1033∼1085)형제를 말하는 것으로 이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명종(明宗)조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쇄어(?江 語)에 "벼슬아치들이 평상시에 갓 대신 관을 쓰기를 좋아하였다. 그 관의 제도는 程子式·朱子式·東坡式·正式·方巾 등이 있어 종류가 매우 많았다 한다." 이들 관은 모두 유가(儒家)의 관으로 유생들은 각자 개성에 맞는 관을 선택하여 즐겨 썼다. 정자관은 사각형의 높은 내관에 밖에 다시 `산(山)` 자형을 2단 혹은 3단으로 덧붙여 처리하였기 때문에 2층 정자관‚ 3층 정자관이라는 명칭을 붙이기도 한다. 애초에 망건을 쓰고 다시 탕건을 쓰고 그 위에 덧쓰는 것으로‚ 재료는 말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말총(馬尾)이 흑색(黑色)이 아니기 때문에 관을 만들 때는 엮을만한 분량을 칠(漆)에 담가 흑색으로 착색된 말총을 한 올 씩 뽑아 엮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