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그네(홀테)

추천0 조회수 15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그네(홀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곡식의 알곡을 터는 농기구. 벼훑이‚ 그네‚ 첨치‚ 천치(千齒)라고도 불리웠다. 벼를 훑는 연장인 홀태는 18세기 서호수(徐?修)가 쓴《해동농서 涇東農書》에는 `그네`라는 이름[한자식으로는 도저(稻箸)]으로 나와 있는데‚ 이것이 곧 벼훑이이다. 1886년에 간행된《농정촬요 農政撮要》에는 도급(稻扱)이라는 이름으로 기존의 그네·벼훑이와 같은 용도의 농기구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것과는 그 형태에 있어서 전혀 다른 것인데‚ 천치(千齒)라는 것으로 일본에서 보급된 것이다. 일본에서 천치가 개발된 것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인데‚ 우리나라에는 19세기 말엽에 들어왔다. 천치라고 불리운 홀태의 모양은 흡사 머리빗과 같다. 쇠로 된 긴 이빨 20여 개를 틀에 박아 다리 4개를 八자 모양으로 단 다음 이빨 사이에 벼를 끼우고 잡아당겨 훑음으로써 곡식의 알갱이를 떨어뜨리는 것이다. 작업중에 틀이 흔들리지 않도록 앞다리 가운데에 나무를 가로대고 다른 나무로 이것을 디디도록 발판을 달기도 했다. 홀태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우리나라의 벼훑이에 비해 일의 능률이 훨씬 높다는 것이다. 그래서 얻은 이름이 `오인급(五人扱)`인데‚ 곧 다섯 사람 몫을 해낸다는 의미이다. 홀태가 이렇듯 작업능률면에서의 장점이 있었지만‚ 벼를 훑을 때 이삭이 잘 부러져 떨어진다거나 이빨 사이에 짚나락이 끼는 문제점도 있다. 이 원리가 발달하여 원통형 답단식 탈곡기가 개발되고‚ 동력을 이용한 탈곡기‚ 요즘에는 콤바인(Combine)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백산자료원‚ 1986) 농기구(박대순‚ 빛깔있는책들17‚ 대원사‚ 1990) 천추의 유입과 그네의 몰락(인병선‚ 생활용구‚ 짚·풀문화연구회편‚ 민속원‚ 1999) <사진자료> 천추의 유입과 그네의 몰락(인병선‚ 생활용구‚ 짚·풀문화연구회편‚ 민속원‚ 1999‚ 35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