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가야금

추천0 조회수 8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가야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가야금(伽倻琴)이라고 하나 가야고가 옳은 이름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향악기(鄕樂器) 중 하나이다. 가야금은 가야국(伽耶國)의 가실왕(嘉實?)이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만들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 악기는 가야국의 고(琴)라는 뜻에서 가야고라 이름 한것이고 일본에서는 신라 사람에 의해 전해졌기 때문에 시라기고도(新羅琴)라고 불렀다. 가야금은 6세기 가야국 멸망 이후에 신라에서 특히 우륵의 공헌으로 융성한 가야금 음악을 꽃피우게 되었다. 이어 신라통일 후에 가야금은 당시의 대표적 향악기인 삼현삼죽(三絃三竹)의 하나로 편입이 되고‚ 눈죽조(嫩竹調)와 하림조(河臨調)의 두 악조에 무려 185곡이 연주되었다고 [삼국사기] 악지에 전하고 있다. 이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서도 가야금은 대표적인 향악기로 그 쓰임이 무척 넓었고‚ 특히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서도 줄풍류‚ 시나위‚ 산조‚ 병창 등의 연주 악기로 널리 사용되었다. 오늘날 가야금은 전통음악은 물론 새로 창작된 음악에서도 가장 중요한 악기로 또한 가장 대중적인 악기로 폭넓게 쓰이고 있다. 용도에 따라 풍류가야금과 산조가야금 등 두종류가 있다. 목재의 기다란 공명통 위에 12줄의 명주줄을 드리우고 손가락으로 뜯어 소리낸다. 음색은 거문고의 그윽하고 무거운 음색에 비하여 가볍고 아름답다. 이 가야금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오동나무의 공명통에 12개의 줄로 만들어 졌다. <참고문헌>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속대사전(민족문화사‚ 1991)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사진자료>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속대사전(민족문화사‚ 1991)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유사용어> 가야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