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붓글씨에 쓰이는 문방구. <일반사항 및 특징> 먹[墨]의 시초는 중국의 한대(漢代) 초라는 정설이 있다. 붓은 진대(秦代)의몽염(蒙?)이‚ 종이는 한대의 채륜(蔡倫)이 발명하였다고 하나‚ 먹의 발명자에 대한기록이 없다. 다만 붓을 쓰기 시작한 때와 거의 같은 시기에 발명되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먹이 발명되기 이전에는 문자를 골편(骨片)이나 금석(金石)에 새겼다. 이를 갑골시대(甲骨時代)·금석시대라 한다. 그 후 인지(人智)와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문자의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갑골문이나 금석문만으로는 기록하기가 어려워지자 대나무 조각이나 나뭇조각 또는 천 등에 문자를 쓰게 되었다. 이때를 죽간시대(竹簡時代)라 한다. 당시 죽간에 쓰던 것은 붓이 아닌 죽정(竹挺)이란 것으로 옻[漆]을묻혀 썼다. 그래서 그 문자의 획이 마치 올챙이 모양과 같다 하여 죽첩과두문자(竹牒웜文字)라고 하였다. 공자나 맹자가 쓴 글씨도 모두 이죽간칠서(竹簡漆書)였다. 견백(絹帛)이란 천(명주)은 종이보다 다소 먼저 발명되었다. 죽간시대에 이미 명주에 글씨를 썼으며‚ 이 글씨는 붉은 단서(丹書:붉은 광석이나 돌가루를 반죽하여 그것을 붓에 묻혀 쓴 글씨) 아니면 검은 묵서(墨書)였다.이때 묵서의 원료는 자연산 석날(石靭)이라는 일종의 광물이었다. 석날이란 오늘날 연필심으로 쓰이는 흑연(黑鉛)의 일종인 듯하며‚ 거기에 옻을 섞어서 썼던 모양이다. 그후 문화가 발달됨에 따라 점차 그을음‚ 즉 연매(煙煤)를 옻 대신 썼다. 이어서 아교풀과 섞어 쓰게 되면서 드디어 제묵(製墨)의 단계로 옮겨지게 되었다. 전한(前漢)시대에도 오늘날과 같은 먹은 만들지 못한 듯‚ 당시에 쓰였던 얇고 편편한 벼루와 마묵구(磨墨具)가 낙랑채협총(樂?彩瑩塚)‚ 그 밖의 한대(漢代)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25∼220년 후한(後漢)시대에 이르러 비로소 오늘과 같은 먹을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은 종이의 발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처음에는 송연묵(松煙墨)을 생산하였고‚ 유연묵(油煙墨)을 사용하게 된 것은 오대십국(五代十國)시대에 이르러서다.당시 남당(南唐)의 후주(後主)가 먹의 사용을 장려하여 이정규(李廷?)와 같은 유명한 묵공(墨工)이 나왔고‚ 그 후 송(宋)·원(元)·명(明)·청(?) 등으로 이어져 오면서 많은 묵공이 배출되고 일품(逸品)이 생산되었다. 한국의 제묵 연혁을 살펴보면‚ 고대부터 먹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위만·낙랑시대에 중국의 것을 본받은 것이사실인 듯하며‚ 신라시대에 들어와서 비로소 정품(精品)의 먹이 생산되었다. 신라의양가(楊家)·무가(武家)의 먹은 모두 송연묵으로서 그 품격(. 실내에 아궁이나 가마[窯] 등을 마련해 놓고 재료를 태우면‚ 그을음이 그 굴뚝에 붙게 된다. 그것이 위쪽으로 모이는 것일수록 상제(上劑)라 하여 품질이 좋다. 당묵(唐墨)의 머리 윗면에 정연(頂煙) 또는 초정연(超頂煙)이라고 표시해 놓은 것은 연매가 상품 양질이라는 뜻이며‚ 특히 공연(貢煙)이라 표시한 것은 최상품이라는 뜻이다. 그을음의 질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반죽하여 굳히는 아교풀의 질과 성능도매우 중요하다. 그을음을 아주 가는 체로 쳐서 아교풀로 개어 반죽한 다음‚ 절구에 넣어 충분히 다진다. 묵명(墨銘)에 십만저(十萬杵) 또는 목구철저삼만(木臼鐵杵三萬)이라고 쓰인 것은 그 숫자만큼 찧어다졌다는 뜻이다. 그것을 목형(木型)에 넣고 압착한다음‚ 꺼내어 재 속에 묻어 차차 수분을 빼며 말린 것이 먹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광물성 그을음 또는 카본 등을 재료로 다량 생산하므로 정품(精品)이 드물다. 品格)이나 질이 매우 좋았다.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는 조선묵(朝鮮墨)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일본에서도 먹은 매우 귀하게 여겼으며‚ 그들이 먹을 처음으로 만든 것은 고구려의 담징(曇徵)이 제지법과 제묵법을 610년에 전해준 데서 비롯되었다. 일본인 자신들도 이사실을 시인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신라의 먹을 수입하여 매우 소중히 여겼다 한다. 1. 먹 먹을 만드는 방법은 송연묵과 유연묵에 따라 각각 다르다. 그을음[煙煤]을 흙처럼 고정한 것이 먹이다. 그런데 연매를 취하는 방법에는 소나무를 태운 송연(松煙)에서 취하는 것과‚ 채종유(菜種油)·참기름[胡麻油]·비자기름[榧油]·오동기름[桐油]등을 태운 연기에서 취하는 것이 있다. 이 그을음이 바로 먹의 주재(主材)가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