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굴뚝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굴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궁이나 화실(火室)에 들어오는 바람을 막거나‚ 연소된 물질을 외부로 내보내는 불연성(不燃?)의 연결체. <일반사항 및 특징> 부엌의 아궁이는 난방과 취사가 겸해 있어 옛날 위정자들은 백성이 굶지 않고 연명하고 있는가 또 어느 집이 양식이 떨어졌는가를 굴뚝의 연기를 보고 알았다 한다. 이 굴뚝도 옹기로 된 것들이 많이 눈에 띄는데 대개 남녘의 하삼도(下三道)에 많다. 굴뚝은 연통(煙筒)과 연가(煙家)로 구분되나 두 개의 기능이 한데 합쳐 있는 것도 있다. 마치 절간의 탑처럼 맨 꼭대기에 새나 꽃봉오리 등을 장식하여 그 밑에 두세 개 또는 네개를 뚫어 연기가 나가게끔 되어 있어 최근 호사가(?事家)들의 정원에 야외등으로 활용되는 것을 보기도 한다. 낙랑시대 전후로 우리의 건축에는 기와가 지붕을 덮는 중요한 재료가 되며 궁궐이나 사찰‚ 사당의 전각들과 생활이 비교적 넉넉한 집은 기와 지붕이었다. 기와 역시 질로 된 것이며 심한 더위나 장마에도 습기나 열을 간직하였다가 서서히 내뿜는 와질(瓦質)의 성격이 한반도의 기후에는 지붕으로서 알맞는 재료이다. 이 밖에 하수구나 전돌이 질로 된 것도 있고 이 전돌로 구성된 탑들이 신라나 고려 초에 세워져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방에 까는 자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고드랫돌도 옹기로 된 것들이 흔히 눈에 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