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바가지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바가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박이나 나무로 만든 다목적 그릇을 말한다. <일반사항 및 특징> 한국 가정의 필수용품으로서 쌀을 퍼내는 쌀바가지‚ 장독에 두고 쓰는 장조랑바가지‚ 물을 퍼내는 물바가지‚ 소의 먹이를 떠내는 쇠죽바가지 등 용도가 다양하다. 봄에 박씨를 뿌렸다가 가을에 박을 따서 만드는데‚ 반(半)으로 켜고속을 파낸 다음‚ 삶아 다시 안팎을 깨끗이 긁어낸 후에 말려서 쓴다. 우리 민족이바가지를 쓰기 시작한 것은 오랜 옛날부터이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탄생신화라든지‚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원효조(元曉條)>에 바가지를 두드려 악기로 썼다는 기록으로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홍석모(?錫謨)가 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상원조(上元條)>에도 남녀 유아들이 겨울부터파랑 ·빨강 ·노랑으로 물들인 호리병박을 차고 다니다가 정월 대보름 전야에 남몰래 길가에 버리면 액(厄)을 물리칠 수 있다 하여 차고 다녔다는 기록이 있고‚ 《흥부 놀부전》에서도 바가지를 신비적 존재로 다루고 있다. 이 밖에 주술이나 금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는데‚ 혼인 때 신부의 가마가 신랑집 문 앞에 다다르면 박을 통째로 가져다 깨뜨렸고‚ 납채(納采) 때에는 바가지를 엎어놓고 발로 밟아 깨뜨려 소리를 냈다. 또 병액을 쫓는 굿이나 고사에도 이용되었으며‚ 가정에서는 바가지를 밥상 위에 올려놓지못하게 하였고‚ 바가지 파편이 아궁이에 들어가면 불길하게 여기는 등‚ 박은 실용성의한계를 지나 민속신앙으로까지 발전하였다. 고려 때에는 아악(雅樂)의 8음(音)에속하는 생황(笙簧)이라는 악기의 재료로 썼는데‚ 지금도 쓰인다. 고대 아프리카에서도 부양구(?揚具)로서 배에 싣고 다녔으며‚ 제주에서는 해녀들이 부양구로 쓴다. 오늘날에는 플라스틱 제품의 이용도가 높아지면서 생활용구로서보다는 그림 등을 그려넣는 공예품이나‚ 실내장식품 등으로 쓰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