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산수화(병풍6)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산수화(병풍6)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인물·화조(花鳥)와 함께 많이 그려진다. 산수·수석(樹石) 등 자연의 경치를그린 것으로‚ 풍물로서 인물 ·누각 ·풍속 등이 포함되며 사계절과 짝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 수묵화에 적합하며‚ 산수화의 역사는 수묵화와 거의 비슷하다. 중국에서는 한대(漢代) 무렵까지 신선도(神仙圖)의 일부분으로서‚ 또 독립된 산수화의 경우에도 종교적인 상징의 의미를 띠고 그려졌다. 한국 미술사상 회화가 가장 활발하게 제작된 시기는 조선시대인데‚ 화풍형성에는 고려시대로부터의 전통과 중국에서 전래된 역대의 화풍들이 토대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고려시대의 작품에는 노영(魯英)의 《지장보살도》‚ 이제현(李齊賢)의 《기마도강도(騎馬渡江圖)》와 공민왕의 작품이라고 전해지는 《수렵도》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고려시대에 일본에 전해졌다는 산수화가 몇점 있다. 이 작품들은 북송대 산수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 산수화가는 안견(安堅)과 강희안(?希顔)이며 그후 최경(崔?)·배연(裴連)·안귀생(安貴生)·이상좌(李上佐) 등이 배출되었다. 안견은 조선 전기 및 중기의 산수화가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독자적 화풍은 《몽유도원도(?遊桃源圖)》에 잘 나타나 있다. 조선 중기의 산수화가로는 김시(金) ·이불선(李不善)·함윤덕(咸允德)·윤인걸(尹仁傑)·이흥효(李興孝)·이경윤(李慶胤) 등으로‚ 안견파의 화풍과 중국 절파의 화풍을 이어받아 각각 독특한 화풍을 이룩한 화가들이다. 조선 후기에는 남종화풍이 두각을 나타내었는데 이 때를 대표하는 사람은 김정희(金正喜)이다. 서(書)에서도 독보적인 존재였던 그는 《세한도(歲寒圖)》에서 산수화의 독특한 경지를 보여주었다. 조선 후기의 화단을 마지막으로 꽃피운 화가는 장승업(張承業)과 안건영(安健榮)이다. 장승업은 강렬한 필법과 묵법(墨法)으로 유명하며 그의 화풍은 근대화가의 대표적 존재인 안중식(安中植)과 조석진(趙錫晉)에게 이어졌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