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파도무늬굽다리접시

추천0 조회수 8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파도무늬굽다리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높고 깊은 접시에 두 줄의 돌기선으로 구연부와 몸통이 구분되고‚ 몸통에는 시문구에 의한 파도무늬가 새겨져 있다. 굽다리는 2단으로 장방형의 구멍이 서로 엇갈리게 뚫려 있으며‚ 끝부분이 위로 말린 듯 밖으로 살짝 돌출되어 안정감을 더하고 있다. 토기는 어느 지역에서나 인류 문명의 시작과 더불어 발전하여 왔으며‚ 기록으로 남아 있는 어느 나라의 역사보다 훨씬 더 오랜 기원을 지닌다. 최초의 토기는 아마도 인간이 불을 이용하면서 우연히 구워진 점토 덩어리를 보고서 착안 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우리 나라의 경우 먹거리가 가장 중요했던 선사시대에는 토기가 곡식의 저장과 관련되어 만들어졌으나‚ 이후 다양해진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기능과 용도가 확대되었다. 특히 인구가 증가하고 사회 계층이 분화되면서 토기는 단순한 그릇에서 신분과 부의 상징으로‚ 제사와 죽은 자의 영혼을 기리기 위한 도구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토기는 적어도 9-10세기경 새로운 도자기 유형인 청자가 한반도에서 처음 만들어지기 전까지 고대인들의 음식 문화와 생활 습관‚ 의식 세계를 담아내던 시대의 산물이었다. 삼국시대는 토기 문화 발달사에서 각 나라의 문화적‚ 지역적 특징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나는 시기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획기적인 진보를 이루었다. 고구려 토기는 연질 계통과 검은색의 경질계통‚ 그리고 중국의 영향으로 보이는 황갈색 시유(施釉) 도기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중에서 생활용기는 대부분 거친 입자의 점토를 사용하였으나 무덤에 넣기 위한 토기들은 모두 고운 흙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남아있는 고구려 토기들은 대개 입 언저리가 넓고 크며 다리가 달리거나 혹은 밑바닥이 편평한 모습을 갖춘 것이 많다. 백제는 국경선을 따라 인접한 국가의 토기 양식을 과감하게 수용하여 삼국 중 가장 다양한 토기 문화를 이루었다. 백제 토기에는 각종 생활 용기는 물론‚ 의식 용기 및 특수 용기들도 발견되고 있는데‚ 녹유(綠釉)를 바른 도기와 중국 도자기를 모방한 토기도 볼 수 있다. 일찍부터 철을 녹이는 기술이 발달했던 가야 지역에서는 화려한 철기 문화와 함께 각종 패총(貝塚)과 고분에서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다. 가야의 토기들은 생활 용기들보다 제사나 의식‚ 무덤에 넣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아 있는 토기들로는 고배(高杯)와 더불어 둥근 밑바닥을 가진 항아리‚ 그릇 받침으로 사용된 기대(器臺)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신발‚ 수레바퀴‚ 말‚ 집‚ 오리‚ 기마 인물과 같은 특정한 형태로 빚은 이형(異形) 토기들은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가야 토기보이는 경질도기이다. 고배는 의식 용기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로 무덤에서 많은 양이 출토되는 보편적인 기종이다. 기형을 보면 몸통의 경우 높고 깊은 사발형의 접시에 두 줄의 돌기선으로 구연부(口緣部)와 몸통이 구분된다. 몸통의 모양이 약간 찌그러졌다. 굽다리는 아래로 가면서 넓어지며 끝 부분이 둥글게 말렸다. 문양은 몸통에 시문구에 의한 파도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굽다리 중앙에 한 줄의 돌대문을 두르고 위‚ 아래에 각각 장방형의 창을 엇갈려 가면서 냈다. 의 특징이다. 낙동강을 중심으로 경상도 동쪽 지역에서는 주로 발견되는 신라 토기들은 표면에 여러 가지 형태의 문양을 새기거나 장신구를 덧붙이고 뚜껑을 사용한 예가 많다. 여기에 용도를 알 수 없는 기마 인물‚ 배‚ 수레‚ 서수(瑞?)와 같은 모양을 표현한 상형(象形)토기류의 제작도 신라 토기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은 단독상(單獸像)과 더불어 토기에 부착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형의 토우(土偶)들의 존재인데‚ 이들은 주술‚ 생식‚ 번영‚ 벽사(?邪)‚ 희생과 같은 신라인의 의식을 이해하게 해 주는 중요한 상징물이다. 본 유물은 가야에서 제작된 고배(高杯)이다. 색조(色調)는 회흑색(灰黑色)을 보인다. 매우 단단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