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이병연필 서간

추천0 조회수 9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병연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영조시대 최고의 시인으로 일컬어졌던 사천(?川) 이병연(李秉? 1671~1751)과 186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한 이병연(李秉? 1816~?) 중 누구의 서간인지 확실하지 않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병연이 형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요즈음 몸은 건강하신지 돌림병이 돈다고 하는데 풍파 외에도 더욱 가볍게 넘길 일은 아니라 걱정하였다. 자신은 영(嶺) 바깥에 있으면서 쇠약한 몸으로 돌아갈 계획이 하루가 급하며 지난번 조카가 강릉 가는 길에 들러 대략 소식을 들었는데 지금 북창을 대하노라면 형에게 무슨 말이든 미치지 못하는데 돌아가서 대략 말씀 드릴 것이라고 적고 있다. 伏?辰下 令政履 神護萬吉 似聞嵐? 近頗爲? 風波之? 尤不渚慮也 弟 嶺?衰病 歸計日??何 頃年令侄江陵之行 略承起居 今對北窓 兄何言不仰及也 憑其歸略申 ?冀爲政加護 以慰遠懷 不宣 伏?令察 拜上候狀 一蕩巾 因京便 以趙寬者?之 令?自江直還 ?信極嘆 乙卯九月之念 舊弟 李秉? 拜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