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난수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난수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정난수(丁蘭秀)의 자는 성의(聖?)‚ 호는 동곡(東谷)‚ 본관은 영광(靈光)‚ 벼슬은 궁내부통신사 주사(宮內府 通信司 主事)를 지냈고‚ 전남 구례 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정난수가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사모하던 즈음에 좋은 바람이 불어와 편지가 이르러 오매 받들어 읽고 기쁨이 한량없습니다. 도체(道體)가 청왕(??)하심을 알게 되니 평소에 송축하던 마음이 크게 위로됩니다. 저는 속세에 묻힌 사람으로 족히 말씀드릴 것이 없으며‚ 오직 아이들이 밥 잘 먹고 건강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합니다. 자세한 가르침이 이와 같으니 감히 본부를 따르지 아니하리오마는 요사이 사사로운 일에 얽매여 바야흐로 고향에 갈 일이 있어서 선생님댁에 달려가 뵙지 못하니 송구스럽습니다. 널리 용서하십시오. 이곳 단자(單子) 거두어들인 일은 지금 모으는 중이오니 한 달 안에 될 것 같습니다. 양해하여 주십시오. 나머지는 번잡하여 이만 줄입니다. 10월 11일 생 정난수 배수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