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원형 제기접시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원형 제기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굿이나 제사에 사용되는 그릇. <개설> 굿당에 진설되는 음식을 담을때나 제사 때 사용하는 접시인데 접시는 그릇 둘레의 높이가 낮고 납작한 그릇으로서 반찬이나 과일과 같은 것을 담는데 사용된다. <역사> 접시는 원시 유적들에서 보시기‚ 단지와 함께 발굴되었는데 제기접시는 제사가 이루어 진 원시시대부터 있어 왔을 것이라 짐작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고대시기 의례용으로 보인 굽접시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제사 그릇의 시초로 보고 있다. 고려시기 이후 접시는 도기‚ 사기‚ 놋쇠‚ 청동 등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들어졌고 형태상으로도 다양하게 발전했다. 일반 가정에서 쓰는 제기와 굿에서 사용하는 제기는 차이가 없지만 종묘제례를 지낼 때 쓰는 왕실 제기는 일반 제기와는 구별된다. 제기는 용도에 따라 제물이나 제수를 담는 것‚ 술과 물을 담는 데 쓰이는 것 등으로 나눈다. 제물이나 제수를 담는 제기에 속하는 접시류의 제기에는 생선이나 육류를 담는 어육기(魚肉器)‚ 초를 담는 데 쓰이는 초접(醋?)과 수저를 올려놓는 시접(匙?)‚ 과일을 담는 과기(果器)‚ 포를 담는 포기(脯器)‚ 젓갈을 담는 해기(?器)‚ 제사를 다 지낸 후 제관들이 제사에 쓴 고기를 나누어 받는 일을 할 때에 사용하는 수조반(受?盤)이 있다. 형태로는 과일을 담는 평접시와 나물 같은 것을 담는 오목접시가 있다. 제기는 용도에 따라 뚜껑이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는데 대부분이 낮은 굽이 달려 있다. 제기에 굽이 달려 있는 것은 조상이나 모시는 신을 높이 받든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제기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나무‚ 사기‚ 놋쇠 등이 사용된다. 가볍고 운반하기 쉬운 나무로 만든 제기는 초기에 묘제(墓祭)에서 사용되다가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집안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요즘에는 값싸고 보관하기도 쉬운 스테인레스로 만든 제기를 많이 사용한다. <사회문화적 의의〉 제기는 일반적으로 사당에 보관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또한 제기가 못쓰게 되면 땅에 파묻어야 하며 다른 그릇으로 제기를 대용하지 못한다. <유사 관련 용어> 제수‚ 어육기(魚肉器)‚ 초접(醋?)‚ 해기(?器)‚수조반(受?盤)‚ 과기‚ 포기‚ 묘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