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남자저고리

추천0 조회수 3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남자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된 한복의 윗옷. <개설> 한복을 입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옷으로‚ 길?소매?깃?동정?고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자저고리는 경우에 따라 끝동이 달라지기도 한다. <역사> 언제부터 저고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문헌에 처음 보이기는 세종2년에 나타난다. 그러나 이는 우리말을 취음한 한자표기인지‚ 몽고의 영향인지 그 어원을 단정할 수 없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저고리는 감?재봉법?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홑(單)?겹?솜?누비저고리는 감?재봉법에 따른 명칭이고‚ 여자저고리 중 ‘당코저고리’는 깃의 모양에 따른 것이다. 삼회장?반회장?민저고리는 저고리 각 부분에 다른 색의 감을 쓴 데 따른 명칭이다. 이 중 가장 격식이 높고 화려한 것이 삼회장저고리이다. 삼회장은 깃?끝동?겨드랑이에 길과는 다른 색의 감을 댄 것으로‚ 고급직물로 색은 자주나 빨강을 즐겨 썼다. 궁중이나 양반층에서는 금박을 사용하여 한층 화려하게 꾸미기도 하였다. 이러한 저고리는 풍만한 치마와 어울려 독특한 곡선미와 색채조화를 자아낸다. 그러나 남자저고리는 계급에 따른 차별이나 장식 등의 변화가 따로 없이 도포나 두루마기의 속에 입어왔다. <사회문화적 의의〉 삼국시대 긴 모양을 한 저고리가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하게 된 것은 조선초기이다. 저고리가 짧아짐에 따라 옷의 각 부 의 형태도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단소화 경향이 1920년대까지 지속되다가 1930?1940년대에는 저고리의 길이와 각 부가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의생활의 합리화에 대한 시도로서 길어진 저고리와 함께 개량된 짧은 치마가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다시 짧아지고 있다. 현대의 저고리는 조선 후기에 해당할 만큼 그 길이가 짧으며‚ 깃이 아주 늘어진 특징을 가진다. 이것은 양장이 일상 복으로 입혀짐에 따라 한복은 의례복화‚ 특수복화하고‚ 여기에 현대적 미의식과 민족의식이 강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사‚관련 용어> 적고리‚ 단적고리‚ 위해‚ 우티‚ 웃치‚ 곁막음‚ 곁막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