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기와틀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기와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기와를 만들 때 사용하는 틀이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개와(蓋瓦)라고도 한다. 기와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로마에도 존재하였다. 동양에서는 중국 하(?)나라 때부터 이미 있었으며‚ 전국시대를 거쳐 진(秦)·한(漢)까지에 이르러 매우 발달하였다. 한국에서는 낙랑시대(樂?時代)에 건물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때에는 평기와[平瓦] 처마에 아직 와당(瓦當)이 발달되지 못하였으나‚ 중국 육조시대(六朝時代)에는 연화(蓮華)무늬의 원와당이 발달하였다. 삼국시대인 고구려·백제·고신라의 기와는 주로 육조시대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고구려는 전통성을 살려 소용돌이꼴 무늬에 특색이 있는 다양성을 보였으나 백제에서는 간소한 연화무늬로 남조(南朝)의 강한 영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고구려·백제의 유적에서 평기와의 처마끝에 지압(指壓)무늬(손 끝으로 누른 무늬)가 발견된 것은 처마평기와[軒平瓦]가 와당으로서의 원초적 형태를 반영한 것이다. 기와의 형태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암키와(평기와)와 수키와(둥근기와)인데‚ 이 기와를 합쳐서 하나로 만든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지붕은 산자 위에 진흙을 이겨 얇게 편 다음‚ 위·아래로 암키와를 걸치고 좌우의 이음매에 수키와를 덮는다. 그리고 처마 위에 비아무림으로 막새를 붙이는데 암키와 끝의 것을 암막새‚ 수키와 끝의 것을 수막새라고 한다. 지붕마루는 기왓골에 맞추어 수키와를 옆으로 세워 막고‚ 그 위에 수키와를 한 줄로 세워 댄다. 전자를 착고(着高)‚ 후자를 부고(付高)라 하며‚ 그 위에 마루장을 3∼7겹 덮고 최상부에 수마루장을 덮는다. 마루의 양 끝에는 용머리 기와를 세워 장식을 겸한다. 근래에 많이 쓰이는 기와는 일본 에도[江戶]시대 평기와와 둥근기와를 하나로 합한 것인데‚ 중량이 가볍고 이기에도 간편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