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한용운선생생가 (韓龍雲先生生家 ‚ Hanyongwoon Teacher A Live Branch )

추천0 조회수 187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용운선생생가 (韓龍雲先生生家 ‚ Hanyongwoon Teacher A Live Branch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 개요 >
독립운동가이자 승려이며 시인인 한용운(1879~1944)이 태어난 곳이다. 낮은 야산을 등진 양지 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생가가 쓰러져 없어진 것을 1992년에 생가를 중심으로 주변지역을 사적화하기 위해 복원사업을 시작하였다.
가옥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초가인데 양 옆으로 1칸을 달아내어 광과 헛간으로 사용하고 울타리는 싸리나무로 둘렀으며 바깥에 흙벽돌로 화장실을 만들었다. 한용운(韓龍雲) 선생의 애민애국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이곳에 표석(標石)을 설치하였다. 이어 생가 좌측 뒷편에 사당과 삼문을 신축하였으며‚ 사당 전면에 기존에 있던 건물을 개축하여 관리사로 사용하고 있다.
한용운은 고종 16년(1879)‚ 8월 29일 결성면 성곡리 박철동 잠방골이라는 곳에서 청주한씨 서원군 한명보의 후손인 부친 한응준과 모친 온양방씨의 차남으로 출생한 한용운 선생은 어릴 때 이름은 유천(裕?)‚ 자는 정옥(貞?)‚ 계명은 봉완(??)‚ 불명은 용운(龍雲)‚ 법호는 만해(卍涇)라 한다. 7세 때부터 홍성 남문동으로 이사와 한학을 배웠으며 9세에 문리를 통달하여 신동이라 칭송이 자자하였다. 26세에 강원도 설악산 백담사에 들어가 불문에 입도하여 경학의 대가로 명승강사가 되었다.
1910년에 일본이 주장하는 한일불교동맹을 반대철폐운동을 하였고‚ 1911년 조선사찰령이 내려지자 만주로 망명하여 이회영‚ 박은식‚ 김동삼 등의 지사(志士)들을 만나서 독립운동을 협의하였다. 1913년 〈조선불교유신론〉을 집필하여 불교계의 개혁을 주도하였다. 1919년 1월 최린(崔麟)과 상의하여 독립운동을 적극 추진할 것을 결의하니 이것이 3.1 만세운동의 발단이 되었으며‚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으로 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을 추가 보완하였다.
1926년 시집〈님의 침묵〉을 발간하였다. 일제에 대항하는 단체였던 신간회를 주도적으로 결성하였는데‚ 이 신간회는 후에 학생 의거와 전국적인 민족 운동으로 전개되고 추진되었다. 저서로 『님의침묵』‚ 『불교대전』 등을 남겼으며 그의 사후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되었다.
< 규모 >
ㅇ 면적 : 484㎡
< 유래 및 연혁 >
ㅇ 1989. 12. 29 충청남도 기념물 제75호 지정
ㅇ 1992 복원사업 시작 기타정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cti.re.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