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화조화

추천0 조회수 16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조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화조화 이명칭 화조도 한자명칭 花鳥圖 국적/시대 중국(中國)-명(明) 재질 사직(絲織)-견(絹) / 비단에 채색 작가 여기(呂紀‚ 1477-?) 기증자 이홍근(李?根)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318.2x107.6cm(전체)‚ 188.0x98.1cm(그림) 소장품번호 동원(東垣)-002623-000 공유하기 여기(呂紀‚ 약1477-?)는 사명(四明‚ 지금의 저장 성?江省) 닝보(寧波) 출신이다. 자(字)가 정진(廷振)이며 호(號)는 낙우(樂愚)로 임량(林良‚ 약 1426-1480)과 함께 명의 궁정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화조 화가이다.그는 가까이는 변문진(邊文進‚ 15세기 전반 활동)의 화풍을‚ 멀리는 남송 원체(南宋 院體) 화풍을 배웠으며 화조 화법의 두 양식인 공필구륵(工筆鉤勒 정교하고 화려한 채색을 이용하여 그림)과 수묵사의(水墨寫意 간략하고 먹의 농담을 이용하여 그림)에 모두 능하였다.이 그림에는 절벽의 물가를 배경으로 굵은 가지의 매화와 동백 그리고 꿩을 비롯한 세 쌍의 새가 공필구륵(工筆鉤勒)의 채색으로 그려져 있다. 절벽의 바위는 절파 화풍(?? ?風)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나무와 새들의 형상은 매우 정교하게 그려졌다.화면 오른쪽 아래에 ″여기(呂紀)″ 관서와 ″사명여정진인(四明呂廷振印)″이라는 도장이 찍혀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화조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