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앙도

추천0 조회수 20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앙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김지수(金地粹;1586-1639)는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광해군 8년(1616)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교서관교감(校書館校勘)에 올랐다. 그는 청에서 유행했던 존주사상(尊周??)에 철저하였던 인물로‚ 늙어서는 천태산 밑에 집을 짓고 풍류와 독서로 소일하며 세상과 인연을 끊었다. 조선시대는 건국 초부터 도화원(圖畵圓)이 설치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회화미술이 꽃피게 되었다. 사대부와 화원들이 이 시대 회화의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화가들이 `장이`의 취급을 받으며 천대 속에 일을 하여 온 것과는 달리‚ 유독 그림만은 상류사회의 사랑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또한 대나무‚ 산수‚ 인물‚ 화초 등 다양한 소재들이 다루어졌으나 감상을 위한 산수가 대종을 이루었다. 그 중에서도 초상화는 동양의 삼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달하였다. 인물의 정확한 묘사와 미묘한 정신 세계의 표출은 괄목할 만하다. 회화는 17세기를 경계로 하여 전후 2기로도 나뉘지만‚ 정확하게는 3기로 나눌 수 있다. 전기는 15세기 초엽에서 16세기 중엽까지 화원(畵院)의 화사(畵師)가 중심이 되어 송·원의 화풍을 그대로 모방한 시기로‚ 북송(北宋) 곽희(郭熙)를 모방한 안견(安堅)의 산수화(山水畵)가 대표적이다. 중기(16세기 중엽∼17세기 말)로 접어들면 명초(明初)의 원체(院體)· 절파(??) 계통의 북종화(北宗畵)가 수입되어 이징(李澄) 등이 활약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중국화 계통이면서 이정(李霆)·윤두서(尹斗緖) 등에서 한국화의 특색을 가진 화풍이 생겨난다. 조선 중기의 회화는 임진왜란‚ 병자호란등의 대란과 격렬한 당쟁이 계속되던 정치적 불안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화풍을 이룩하였다. 한편으로는 안견파 화풍‚ 절파화풍 등 조선 초기 이래의 전통을 나름대로 계승‚ 발전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영모나 화조화(花鳥畵)‚ 묵죽(墨竹)‚ 묵매(墨梅)‚ 묵포도(墨葡萄)등에서 종래에 보기 드물었던 새로운 한국적 특징을 발전시켰다. 김제의 「동자견려도(童子牽驢圖)」‚ 김명국의「설중귀로도(雪中歸路圖)」‚ 이정의 「묵죽도(墨竹圖)」등은 이 시대 회화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 본 유물은 17세기 천태산인 김지수가 그린 이앙도(移秧圖)이다. 비단에 채색을 하였다. 구성은 크게 전‚ 중‚ 후의 3단 구도를 보이는데 전경에는 한쪽으로 치우쳐 나무 두 그루와 초가집 두 채를 그리고 그 집을 향하는 한 선비의 모습을 나타냈다. 그리고 넓은 산길을 따라 커다란 암벽을 두고 이 암벽사이에 난 길을 따라 중경이 펼쳐진다. 여기에는 몇 채의 초가집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다. 저 멀리 높은 산들이 펼쳐지고 그 앞에 있는·掌令(장령)·侍講院(시강원)의 文學(문학)·弼善(필선)·輔德(보덕)‚ 1628년 鍾城 府使(종성부사)를 지낸 뒤 사퇴하고 고향 古阜(고부)에 돌아갔다. 그림에도 능했다. 고부의 道溪書院(도계서원)에 祭享(제향)되었으며 이조 판서에 追贈(추증)되기도 하였다. 시호는 貞敏(정민)이다. 그는 청에서 유행하던 존주사상(尊周??)에 철저하였던 인물로써 늙어서는 천태산 밑에 집을 짓고 풍류와 독서로 소일하며 세상과 인연을 끊었다. 드넓은 논에서는 농부들이 두 명씩 짝지어 열심히 일을 하고 있다. 한적한 시골의 풍경을 저 멀리서 관망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김지수(1585-1636)는 조선의 문신으로써 자는 去非(거비)‚ 호는 苔川(태천)·?台山人(천태산인)이다. 正郞(정랑) 齊閔(제민)의 손자이다. 1616년(광해군 8) 增廣文科(증광문과)에 丙科(병과)로 급제‚ 校書館 校勘(교서관교감)이 되고‚ 1617년 廢母論(폐모론)에 반대하여 富寧(부령)에 유배되었다. 1623년 仁祖反正(인조반정)으로 풀려 나와 예조·병조의 郞官(낭관)을 지내고 1626년(인조 4) 書狀官(서장관)으로서 正使(정사) 金尙憲(김상헌)을 따라 청나라에 가는 도중 酬唱(수창)한 시를 엮어 《朝?錄(조천록)》을 내었다. 司憲府(사헌부)의 持平(지평)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