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중요
청자 다섯 대롱 병
  • 다른명칭

    靑磁多管甁, 청자 다롱 병

  • 국적/시대

    중국 - 원

  • 출토지

    전라남도 - 신안군

  • 재질

    도자기 - 청자

  •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음식 - 병

  • 크기

    높이 11.4cm, 입지름 4.2cm, 바닥지름 6.9cm

  • 소장품번호

    신안 1948

중앙의 입 주위에 대롱형의 작은 입이 다섯 개가 달린 형태의 병이다. 복부(腹部)에는 연판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그 아래로 원형의 낮은 저부(底部)가 이어져 있다. 해저에서 출토된 용천 청자 중에서 남송후기 양식을 지닌 몇 점 안 되는 것으로 태토가 치밀하고 발색이 매우 좋다. 유약은 입자가 곱고 부드러운 청색으로 광택이 좋다. 바닥은 붉은 색의 태토가 드러나 있다. 송대에는 이처럼 입이 여러 개 달린 병(多口甁)이 많이 제작되었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드물다. 다구(多口)는 다자(多子)를 상징한다고 한다. 용도는 등잔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지만 꽃병일 가능성이 크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청자 다섯 대롱 병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