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장도

추천0 조회수 9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장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장도는 칼집을 갖춘 작은 칼로서 휴대용 장신구로인데 신라 시대부터 남녀가 공용으로 찼으며 조선시대에는 노리개로 유행하였다. 남자들은 주머니‚ 담배쌈지와 더불어 주머니에 착용했으며‚ 여자는 치마 속 허리띠에 차거나 노리개의 주체로 이용하였다. 부녀자들은 장식용으로서만이 아니라‚ 호신용과 정절의 상징으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장도는 노리개로 차는 것은 패도라고 하고 주머니에 넣어 다니는 것은 낭도라고 했다. 장도에는 젓가락이 함께 달린 것이 많은데‚ 휴대하면서 젓가락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음식의 독(毒)을 판단하는데 사용하였다. 장도의 전면(全面)에는 십장생(十長生)이 새겨져 있다. 장도집 상단부에는 고리가 달려 있으며 그 밑에는 복(福)자와 수(壽)가 음각 되어 있다. 젓가락의 손잡이에는 매미를 조각한 쇠를 붙였다. 십장생은 해‚ 산‚ 돌‚ 물‚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을 말한다. 동양 사상에서 십(十)이란 숫자는 여러 가지 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십(十)’이란 숫자는 모든 수를 갖추는 기본이 되며‚ 여기에서 ‘一’은 동서를 나타내고‚ ‘ㅣ’은 남북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十’이란 숫자는 사방‚ 중앙이 모두 갖추어짐을 뜻하며‚ 완전함을 나타낸다. 해(日)는 오래전부터 남성적인 원리를 상징해왔다. 양(陽)을 나타내는 해는 지상 최고‚ 권화의 상징이다. 산(山)은 생명의 근원이면서 신성한 것이며 동시에 장수를 상징한다. 구름(雲)은 예부터 천신이나 신령들이 부리를 탈 것일 뿐 아니라‚ 만물을 자라게 하는 비의 근원이라고 여겨졌다. 따라서 구름은 장수와 길상을 상징한다. 물(水波)은 오행(五行) 중 첫째로‚ 나무를 만들고 불을 이긴다. 따라서 물은 생명의 근원이면서 영구히 존재하기 때문에 장수의 상징이다. 소나무(松)는 사계절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하여 예전 사람들은 이것을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다른 나무들과 달리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시들지 않아 역격을 만났을 때도 떠나지 않고 남아 있는 친구 즉 영원히 변치 않는 우정에 비유되었다. 바위(岩) 역시도 오랜 세월을 두고 변치 않아서 장수의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비‚ 바람을 가리지 않고 말없이 의연한 자태는 군자의 풍모를 엿볼 수 있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학(鶴)은 우리 전설 속에서 봉황 다음으로 이름 높은 새이며‚ 수많은 신화적 속성을 부여받고 있다. 학은 날짐승의 우두머리로서 구름과 같이 그려지는데‚ 이러한 문양을 운학문이라 한다. 전설에 의하면 학에는 흑·백·황·청색의 네 종류가 있는데‚ 그중 흑색 학이 가장 오래 산다고 한다. 이런 연유로 학은 장수를 상징하고 있다. 불로초(不老草)는 지초(芝草) 또는 영지초(靈芝草)라고도 한다. 장생불로의 상징적 무늬로‚ 십장생도에서는 사슴이 물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사슴(鹿)은 불멸의신성한 순간을 포착해낼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여겨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