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빗접

추천0 조회수 9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빗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빗접은 퇴발낭(크기 80×90cm의 장판지로 머리를 빗을 때 무릎 앞에 펴 빠지는 머리카락을 받아 모아 종횡으로 3번 접어서 보관)‚ 빗‚ 빗솔‚ 빗치개‚ 빗솔‚ 머릿기름 등을 보관하는 가구로서 유리 거울이 나오기 이전에 사용된 머리단장용 화장구이다. 형태에 따라 2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창호지 등을 여러 겹 붙여 기름에 절여서 만든 것이고‚ 또 하나는 나무로 짜서 만든 것인데‚ 쓰임새에 따라 크고 작은 서랍이 여러 개 달려 있다. 십장생·원앙·연꽃·산수 등의 무늬를 장식하여 여성들의 기호와 취향에 맞추었고‚ 항상 머리맡에 두고 사용한다. 이 빗접은 나무로 만든 것으로 3단 서랍장을 갖추고 있다. 서랍의 앞면에는 자개로 대나무‚ 풀꽃문‚ 복(福)자문 등으로 장식하였다. 복자문은 톱니무늬 자개로 둥글게 둘러싸여 있다. 서랍의 앞면에는 꽃모양 받침에 각각 활형 ‚환형등의 손잡이를 달아 서랍문을 여닫을 수 있게 했다. 대나무는 속이 비어 있으면서도 강하고 유연한 성질을 지니고 있고‚ 또 사계절을 통하여 색이 변치 않기 때문에 군자의 품격이나 절개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생활 문양에서 다루어지는 대나무는 절개나 지조의 상징보다는 세속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나무 죽(竹)과 축수한다는 축(祝)이 같은 음을 낸다고 하여 축수(祝壽:장수하기를 기원함)의 의미로 쓰였다. 대나무와 함께 바위가 그려진 예가 많이 보이는데 바위는 장수를 뜻하기 때문에 역시 축수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편 대나무는 벽사의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담문록(談聞錄)』에 의하면 서방 산중에는 장대한 산귀신이 살았는데 사람이 그를 만나기만 하면 반드시 병에 걸렸다고 한다. 이전이라는 사람이 이 귀신을 매우 두려워하여 아침저녁으로 대나무를 잘라 불 속에 던져 넣었는데‚ 대나무가 타면서 터지는 소리에 놀라 귀신이 달아나게 했다고 한다. 이것이 세시에 폭죽을 터뜨리게 된 연원인데 이로부터 대나무가 축귀(逐鬼:귀신을 쫓아냄)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복(福)자문은 길상(吉祥)문자 문양 중 하나로 복을 상징한다. 예로부터 가장 보람되고 알찬 삶을 사는 것을 오복(五福)을 고루 갖추었다고 하는데 이 오복에 대해서는 『상서(常書)』의 「홍범(?範)」편에‚ “오복이란 첫째가 수(壽 : 오래 삶)‚ 둘째가 부(富 : 재산이 많음)‚ 셋째가 강녕(康寧 : 건강하고 평안함)‚ 넷째가 유호덕(攸?德 : 인격을 갖춘 삶)‚ 다섯째가 고종명(考終命 : 천명을 다함)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조들은 이러한 삶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그 바람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문자를 문양으로 도안하여 생활 주변의 모든 기물에 구체화하여 베풀었던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