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농학초계 전

추천0 조회수 7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농학초계 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농업을 배우는 이들을 위한 기초 교과서로서‚ 농업(農業)‚ 축산(畜産)‚ 양잠(養蠶)‚ 재배법(栽培法)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주요 내용 및 특징> 1년 12개월의 행사를 매월마다 24절기와 관련시켜 설명하고 있으며‚ 비료‚ 토양‚ 비료수(肥料水)의 제조법‚ 배수‚ 토양분류‚ 지기(地氣)‚ 온도‚ 수입 지출계산‚ 용수의 중요성‚ 파종법‚ 제초‚ 물 관리‚ 병충해방제‚ 수확 등의 방법과 중요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규 학교 교육에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 간행되어 사용된 것은 1894년 이후이다.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토대가 된 신학제(新學制)가 확정되었고‚ 1894년 음력 6월 26일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되어 교육을 관장하였다. 이 시기의 교과서 편찬은 정부 주도의 교과서 편찬과 민간 주도의 교과서 편찬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 과정이 제정됨으로써 교과서 편찬의 업무는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었고‚ 처음부터 일본인의 직접적인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정부는 1895년에 학부편집국에서 《국민소학독본》과 《소학독본》을 시험적으로 출판하였으며‚ 이들 교과서는 신학제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이다. 이 시기 정부 주도 하의 교과서 편찬이 식민지 교육의 하나로 추진됨에 따라 뜻있는 민간학회와 교육회 등을 중심으로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부는 1908년 8월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과 1909년 5월 <출판법 규칙>을 공포하여‚ 민간주도의 교과서 중 배일사상(排日??)을 고취하거나 질서와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는 교과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그 결과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동국사략》‚ 《금수회의록》 등 8종이 국가 안녕 및 질서를 방해한다는 명목으로 발매‚ 배포 금지 처분을 받았고‚ 1909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민간 주도 교과서는 모두 39종에 이른다. <목차> 四月(사월) : 溫度(온도)와 植物(식물)‚ 播種(파종)의 時節(시절)‚ 發芽(발아)와 水分(수분)‚ 種子(종자)의 ?小輕重(대소경중)‚ 母本(모본)의 良否(양부)‚ 種子(종자)의 新舊(신구)‚ 播種(파종)의 渙渚(심천)‚ 整地(정지) 五月(오월) : 墾起碎土(간기쇄토)의 器具(기구)‚ ?鋤(경서)의 渙渚(심천)‚ 日光(일광)과 植物(식물)‚ 播種量(파종량)‚ 施肥(시비)‚ 施肥量(시비량)‚ 蠶(잠)의 掃取(소취)‚ 害?(해충)‚ 害?豫防(해충예방) 六月(유월) : 霜害(상해)‚ 田植(전식)‚ 植苗(식묘)의 ?密(소밀)‚ 蠶(잠)의 ?質(성질)‚ 蠶體(잠체)‚ 植法(식법)의 渙渚(심천)‚ 養蠶上(양잠상)에 用語(용어)‚ 蠶(잠)의 飼育法(사육법) 七月(칠월) : 雜草(잡초)의 害(해)‚ 田(전)의 除草(제초)‚ 稻田(도전)의 灌漑(관개)‚ 作物栽培上(작물재배상)의 用語(용어)‚ 換作及連作(환작급연작)‚ 亢旱(항한)‚ 土壤(토양)의 毛管引力(모관인력)‚ 水源(수원)‚ 森林(삼림)의 效用(효용) 八月(팔월) : 鳥類(조류)의 功害(공해)‚ ?類(충류)의 功害(공해)‚ 摘芽(적아)‚ 同化作用(동화작용)‚ 日光(일광)과 同化作用(동화작용)‚ 霖雨(림우)의 害(해)‚ ?水(홍수)와 森林(삼림) 九月(구월) : 土壤(토양)의 過濕(과습)‚ 排水方法(배수방법)‚ 排水功效(배수공효)‚ 黴菌(미균)‚ 黴菌(미균)의 防除(방제)‚ 風害(풍해)‚ 防風(방풍) 十月(시월) : 家畜(가축)의 飼育(사육)‚ 鷄卵(계란)의 孵化(부화)‚ 育雛(육추)‚ 稻(도)의 收穫(수확)‚ 米(미)의 春製(춘제)‚ 米(미)의 收量(수리)‚ 麥(맥)의 播種(파종) 十一月(십일월) : 種子(종자)의 交換(교환)‚ 肥料(비료)의 ?質(성질)‚ 田(전)에 一年二?(일년이경)‚ 樹木移植(수목이식)‚ 果樹(과수)의 剪枝(전지)‚ 防寒(방한)‚ 貯畜(저축)‚ 收穫物(수확물)의 放賣(방매) 十二月(십이월) : 穀物(곡물)의 貯藏(저장)‚ 根菜(근채)의 貯藏(저장)‚ 收入支出計算(수입지출계산)‚ 文簿(문부)‚ 勤儉(근검)‚ 曆書(역서)‚ 餘業(여업) 一月(일월) : 農業(농업)의 ?質(성질)‚ 農家子弟(농가자제)의 心得(심득)‚ 土壤(토양)의 由來(유래)‚ 土壤(토양)의 種類(종류)‚ 土壤(토양)의 成分(성분)‚ 肥料(비료)의 成分(성분) 二月(이월) : 土壤(토양)의 ?質(성질)‚ 肥料(비료)의 ?質(성질)‚ 植物(식물)의 ?質(성질)‚ 地方(지방)‚ 問接肥料(문접비료) 三月 (삼월) : 肥料(비료)의 貯蓄(저축)‚ 方位(방위)‚ 作物(작물)의 種類(종류)‚ 作物(작물)의 栽培法(재배법)‚ 農家(농가)의 共同(공동)‚ 精農及老農(정농급노농) 四月(사월) : 農業(농업)의 目的及效用(목적급효용)‚ 作物(작물)‚ 分類(분류)‚ 品種(품종)‚ 品種(품종)의 選擇(선택)‚ 種物及苗(종물급묘)‚ 種苗交換(종묘교환)‚ 選種(선종) 五月(오월) : 種物豫備(종물예비)‚ 整地(정지)‚ 播種時節(파종시절)‚ 播種法(파종법)‚ 播種渙渚(파종심천)‚ 播種量(파종량)‚ 果樹蕃殖法(과수번식법)‚ 苗板(묘판)‚ 移植(이식) 六月(유월) : 間拔(간발)‚ 中經及培土(중경급배토)‚ 除草(제초)‚ 施肥(시비)‚ 灌漑(관개)‚ 摘芽(적아)‚ 剪枝及整地(전지급정지) 七月(칠월) : 害?(해충)의 防除(방제)‚ 黴菌(미균)의 防除(방제)‚ 諸種病害(제종병해)‚ 收穫(수확)‚ 貯藏(저장)‚ 需實類(수실류)‚ 需根類(수근류) 八月(팔월) : 需葉類(수엽류)‚ 果樹(과수)‚ 馬(마)‚ 牛(우)‚ 豚(돈)‚ 家禽(가금) 九月(구월) : 蠶(잠)‚ 蜜峰(밀봉)‚ 家畜(가축)‚ 家畜品種(가축품종)‚ 家畜(가축)의 遺傳(유전)‚ 家畜(가축)의 改良(개량) 十月(시월) : 家畜(가축)의 衛生(위생)‚ 家畜(가축)의 疾病(질병)‚ ?陽(태양)의 光線‚ 寒暖‚ 寒暖의 變化‚ 六風‚ 濕氣 十一月 : 雨雪‚ 霜露‚ 氣候의 變通‚ 土壤의 由來‚ 土層 十二月 : 土壤의 分類‚ 土壤의 理學的?質‚ 土壤의 化學的成分‚ 土壤의 肥瘠 一月 : 土壤改良‚ 耕鋤‚ 客土‚ 排水‚ 灌漑 二月 : 植樹‚ 耕地整理‚ 肥料의 分類‚ 人糞尿‚ 廐肥‚ 魚肥 三月 : 鳥糞及蠶尿‚ 骨粉‚ 過燐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