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엽전궤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엽전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물건을 넣기 두는 장방형의 상자.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큰 것은 궤‚ 작은 것은 갑(匣)‚ 아주 작은 것은 독(窺)이라 한다. 또‚ 세부구조의 특징에 따라 궤나 함(函)으로 나누기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형태는 윗면 또는 앞면의 반을 외짝문으로 만들어 여닫도록 하고 빗장과 자물쇠를 달았으며‚ 재료는 주로 결이 곱고 단단한 나무를 썼는데 황유목(黃楡木 : 느릅나무)을 가장 상품으로 여겼다. 용도는 책·활자·문서·돈·옷감·의복·제기·화자기(怜磁器)·놋그릇·곡물 등을 보관하는 데 사용하였고‚ 특수한 용도로서 종묘(宗廟)에서는 신주를 보관하는 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궤의 용도가 다양하므로‚ 사용계층도 궁중을 비롯한 관청으로부터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었다. 궤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각 지방에 따라 독특한 발전을 보였다. 대표적인 궤로는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반닫이‚ 엽전을 보관하는 돈궤‚ 곡물을 담아두는 뒤주가 있다. 큰 궤는 대부분 두께 2㎝ 이상의 통판을 사괘맞춤으로 짰으며‚ 작은 궤는 연귀짜임(귀끝을 모지게 엇벤 짜임)이나 맞짜임·장부짜임(한쪽을 가늘게 만들어 다른 재목 구멍에 넣는 짜임)으로 짜서 앞면과 측면의 짜 맞춘 부위에 감잡이(양쪽으로 걸쳐 박는 쇳조각)를 대어 견고하게 하였다. 외짝문에는 경첩을 달아 여닫거나 두 개의 긴 뻗침막대를 대어 문을 들어낼 수 있도록 하며‚ 빗장을 잠그면 열 수 없도록 만들었다. 좌우 양측의 들쇠나 자물통 등은 무쇠를 주로 사용하였다. ≪삼국유사≫에 탈해왕이 길이 20척‚ 너비 13척의 궤에서 나왔고‚ 경주김씨의 시조인 김알지(金閼智)도 금궤에서 나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궤는 오래 전부터 사용된 가구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위판의 절반만 열리는 위닫이 형태로 소나무 기둥에 죽장으로 판(板)을 짜서 엽전을 보관하는 돈궤를 만들고 있다. 위판은 4개의 무쇠경첩으로 연결하였고 앞판에는 네모진 자물쇠앞바탕을 부착하였다. 뻗침쇠의 끝에는 묵직한 ‘ㄷ’자형의 자물쇠가 채워져 있다. 그 아래로 커다란 활모양의 들쇠가 달려있다. <참고문헌> 홍정실‚《장석과 자물쇠》‚ 대원사‚ 1998. 고려대학교박물관‚《목공예명품도록》‚ 1990.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