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완편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완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초기백자로 만들어진‚ 주로 차를 마시는 데 사용되던 완(碗)편(片)이다. <발달과정/역사> 여주 중암리 유적은 고려백자를 생산한 요지로 고려 초기 백자의 발생 및 발달과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도자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유적이다. 2001년 경기도박물관에 의해 1차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전체 가마의 규모와 구조가 파악되었으며‚ 출토유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초기고려백자에 대한 학술적 자료를 제공한 바 있다. 유적이 위치한 여주군 북내면의 지형은 해발 200-400m의 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풍부한 하천의 수원과 중암리 주변에는 질 좋은 백토(白土)등 자기(瓷器) 원료 생산지가 분포하고 있어 요업(窯業)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고 있다. 또 중암리 고려백자요지는 협곡부의 중단부에 위치한다. 유적 바로 앞으로 협곡을 따라 하천로가 형성되어 교통이 발달하였다. 즉 유적의 입지는 주변에 가마의 화력을 공급할 수 있는 땔감과 작업에 필요한 수원이 풍부하며‚ 자기의 원료생산지가 인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협곡과 하천을 이용한 교통로가 발달하여 자기의 재료 및 완성된 자기의 이동과 공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관련유적에 대한 주변 지표조사를 통하여 모두 31개소의 도요지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도요지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시기에 걸쳐 운영되었는데 그 까닭은 남한강과 섬강을 중심으로 발달된 교통로의 합류지점에 유적이 입지한다는 점과 자기 제작에 필요한 태토와 땔감이 풍부하다는 점이 이 지역에 도요지가 밀집 분포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중암리 가마는 5회 이상 수리 및 개축하였음이 하부조사를 통하여 밝혀졌다. 가마의 조성초기에는 벽체의 구조가 벽돌 가마의 형태였으나 3차 개축 이후부터 진흙 가마로 변화하였으며‚ 가장 늦은 시기에는 아궁이 및 굴뚝부에 석재를 이용하여 석축을 쌓아 벽체를 조성하였다. 또한 시기가 지나면서 가마를 축소하여 사용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하부조사를 통해 인근 용인의 서리와 시흥 방산동 유적과 관련하여 초기 가마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지의 퇴적구는 5개의 층위(層位)로 나뉘며‚ 모두 2‚200여 점에 이르는 유물을 수습하였다. 출토유물은 12기종으로 나누어지며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갈수록 기종이 다양하고 장고·대반과 같은 대형기종들이 나타나고 있다. 출토 양상은 아래층에서는 내저곡면의 완과 발‚ 굽이 낮은 연판문 잔탁 등이 수습되며 위층에서는 내저원각의 완과 발‚ 화판형 잔 등이 주로 확인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초기 가마 유적 중 가장 잘 남아있는 가마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차를 마시는데 사용된 완(碗)의 저부편(底部片)으로 추정된다. 기물의 두께는 약 0.3cm로 저부에서 급하게 사선으로 뻗어 올라 온 형태이다. 굽의 접지면의 폭이 약 0.6cm 내외로 좁은 해무리굽 형태를 취하고 있고‚ 내화토를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내저면은 원각(圓刻)이 없는 곡면식이다. 태토는 백색이고 유색은 암록으로 가는 빙렬이 나 있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경기도박물관‚ <여주 중암리 고려백자요지 2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2.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