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전립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전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융복(戎服) 또는 구군복(具軍服)에 병용한 갓. <유래 및 발달과정>  ‘갓’이란 말은 순수한 우리말로‚ 한자어로 립(笠)이라고 한다. 립은 햇볕과 비바람을 막기 위한 실용적 용구로‚ 크게 흑립(黑笠)‚ 초립(草笠)‚ 전립(戰笠)으로 구분된다. 형태는 모자와 양태의 구별이 어려운 방립(方笠)과 구별이 뚜렷한 패랭이가 있다. 립은 고려 말의 폐양립형 갓에서 발전되어 초립단계를 거쳐 칠립으로 발전된 것으로‚ 초립은 가는 대나무 껍질을 엮어 만들어 양반과 상민이 함께 착용했고‚ 흑립은 말총으로 만들어 상류계층에서만 착용했으나 중기 이후 천민을 제외한 일반인 모두가 착용하였다. 전립(戰笠)은 조선시대 무관이 착용하던 모자로 무신이 착용할 때는 품계(品階)에 따라 장식이 달랐다. 대관(?官) 전립에는 공작미(孔雀尾)‚ 삭모(?毛)‚ 옥로(?鷺)를 달고 양태(凉?) 안쪽은 운문단(雲文緞)으로 꾸민다. 이러한 전립을 안울림벙거지라고도 부르며 끈에는 밀화패영(密花貝纓)을 단다. 주로 군복차림에 사용하였고‚ 재료가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들었으므로 전립(氈笠)‚ 모립(毛笠)이라고도 하였다. 무속에서 황해도 만구대택굿(萬口?擇?)의 사냥거리를 할 때 무복(巫服)과 함께 착용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모자의 형태는 대우와 양태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패랭이와 유사하지만 대우와 양태 사이에 흰색과 붉은색의 털실을 꼬아 붙여 구분하였다. 모자는 둥글고 높게 만들었고 전(氈) 대신 합성섬유를 붙여 넓고 평평하게 만들었다. 상단에는 털실로 방울과 술을 만들어 붙이고 금박(金箔)과 녹박(綠箔)으로 꽃을 표현하여 붙여놓았다. 안쪽에는 푸른색 천을 붙여 마무리하고 크기가 다른 붉은색 노란색 녹색의 나무구슬을 엮은 끈을 달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또한 검은색의 얇은 끈을 달아 모자를 썼을 때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