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문수보살도

추천0 조회수 5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문수보살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을 표현한 불상(佛像). <유래 및 발달과정> 문수보살은 부처님이 돌아가신 뒤 인도에서 태어나 반야(般若)의 도리를 선양한 이로써‚ 항상 반야지혜의 상징으로 표현되어 왔다. 그는 『반야경(般若經)』을 만들고‚ 편찬한 이로 알려져 있고‚ 또 모든 부처님의 스승이요 부모라고 표현되어 왔다. 이는 『반야경』이 지혜를 중심으로 취급한 경전이고‚ 지혜가 부처를 이루는 근본이 것에서 유래된 표현이다. 일설에는 문수보살이 석가의 교화(敎化)를 돕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몸을 바꾸어 보살의 지위에 머물고 있으나‚ 오랜 옛적에 이미 성불하여 용존상불(龍尊上佛)‚ 대신불(?身佛)‚ 신선불(神仙佛)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또 미래에 성불하여 보견여래(普見?來)로 불릴 것이라고 하였고‚ 또 다른 유래로는 문수보살이 현재 북방의 상희세계(常喜世界)에 있는 환회장마니보적불로‚ 이 부처님의 이름을 들으면 사중죄(四重罪)가 없어진다고 하였다. 『화엄경(華嚴經)』 속에서 문수보살은 보현보살과 함께 비로자나불의 양쪽 협시보살(?侍菩薩)이 되어 삼존불(三尊佛)의 일원을 이루고 있다. 문수보살이 불교미술의 소재로 등장한 것은 400년 무렵부터이다. 일반적으로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 무명(無明)의 구름을 잘라버리는 지혜의 칼을 높이 치켜들고 왼손에는 패엽(貝葉)으로 된 『반야바라밀경(般若波羅蜜經)』을 들고서 왕자처럼 치장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때때로 위엄과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를 타고 있기도 한다. 회화에서는 유마경변상도(維摩經變相圖)에서 유마거사(維摩居士)의 상대자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는 8세기 무렵부터 문수보살 숭배가 널리 유행했으며‚ 산서성(山西省)에 있는 오대산(五臺山)은 문수보살의 성지로 1만 보살과 함께 있다고 하며‚ 그를 모신 사찰로 가득 차 있다. 천계에 있는 보살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인도에 실재했던 인물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문수보살은 현세에 여러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 꿈속에 나타나거나‚ 그가 사는 성스러운 산의 순례자‚ 코탄에 불교를 전한 승려 바이로차나‚ 티베트 불교를 개혁한 아티샤‚ 중국의 황제로도 화현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래 이 문수보살에 대한 신앙이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에 문수신앙을 최초로 이식한 이는 자장이며‚ 이 밖에도 신라의 경흥대덕(憬興?德)이 문수의 경책을 받은 일이나 연회국사(緣會國師)가 문수보살을 친견한 이야기‚ 신라의 태자 보천(寶川)과 효명(孝明)이 오대산에 문수보살을 중심으로 한 오방위신앙을 정립시킨 기록이 있다. 또 경순왕이 문수보살의 화신인 줄 모르고 공양 올리기를 꺼린 설화‚ 문수보살과 함께 수도했던 고려 고승 3인에 얽힌 설화‚ 세조의 병을 고쳐 준 문수동자의 설화‚ 문수동자의 경책을 들은 환우화상 이야기‚ 땡추로 변화한 문수보살‚ 하동 칠불암의 문수동자 설화 등 많은 이야기가 전래되고 있다. 우리나라 사찰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좌측에 문수보살을 봉안하는 경우가 많고‚ 대적광전(?寂光殿)에도 비로자나불 좌측에 문수보살을 봉안하며‚ 특별히 문수신앙이 강한 사찰에는 문수보살상만을 모신 문수전(文殊殿)을 따로 두기도 한다. 오른손은 지혜의 칼을 쥐거나 왼손으로는 푸른 연꽃을 지니기도 한다. 때에 따라서는 경권(經卷)을 손에 쥔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대좌(臺坐)는 연화대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청사자(靑?子)를 이용하여 이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흑색 바탕 위에 금니(金泥)로 그린 문수보살이 표현되어 있다. 문수보살은 양손에 여의두(?意頭)를 들고 청사자(靑?子)를 타고 있으며 방형의 얼굴과 단정한 신체 비례를 보여준다. 얼굴과 손‚ 발은 금니로 채색을 하였다. 둥글면서도 팽팽한 어깨‚ 넓고 당당한 가슴‚ 여의두를 들고 있는 손 등에서 우아함과 세련미가 풍긴다. 금선(金線)으로 보관장식(寶冠裝飾)과 천의(?衣)의 의습선(衣褶線)을 정묘(??)하게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