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겹저고리

추천0 조회수 4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겹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저고리는 한국의 민족의복 중에서 상의(上衣)로 통칭되는 용어이고‚ 赤古里로 표기되며‚ 길·소매·깃·섶·동정·고름 등으로 구성된다. 상대(上代)부터 남녀가 공통으로 착용하였는데 삼국시대에는 유( )·복삼(複衫) 또는 위해(尉解)라고 하였다. 위해란 신라말로 `웃옷`의 표음(表音)이며 현재의 저고리보다는 길어 허리에 띠를 매도록 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삼(衫)·한삼(汗衫)·적고리(赤古里)·의(衣)·져구리[閑中錄]·저고리[順和宮帖草]·곁막이(絹莫伊)가 있고‚ 궁중용어로는 동의대(胴衣 )라는 말도 쓰였다. `저고리`란 말은 조선 세종 2년(1420)의 실록에 처음 보이지만 고려 충렬왕 이후 원(元)의 지배하에 있을 때부터 사용된 용어이다. 남자의 저고리는 바지 위에 입고‚ 두루마기를 그 위에 입어 내의(內衣)의 역할을 한다. 반면에 여자의 저고리는 치마 위에 입어서‚ 저고리 차림 그대로 외의(?衣)가 되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남자와 여자의 저고리가 그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저고리의 자료를 살펴볼 때 여자의 저고리가 남자의 저고리보다 다양한 것을 알 수 있다. 저고리는 소매가 직선형(直線形:straight sleeve)이고‚ 앞이 터진형(前開型:front-opened)이라는 기본구조를 가진다. 이는 세계의 복식유형 중에서는 카프탄 스타일(Kaftan or caftan stayle)에 속한다고 분류되고 있다. 저고리는 胴(衣身)이 완전히 平面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평면형이고 직선소매로 된 上衣는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착용되고 있다. 저고리의 구성요소는 길(胴)‚ 소매(袖)‚ 깃(衿·領)‚ 회장(回粧‚ 回裝)‚ 옷고름‚ 동정(同正)‚ 끝동(袖端)‚ 섶( )‚ 진동‚ 뒷중심선 등으로 구분된다. 길(胴)은 앞‚ 뒤의 몸체를 말하고‚ 저고리의 넓이는 `품`으로 표시한다. 소매(袖)는 길과 직선으로 달리는 특성을 갖는다. 저고리의 깃(衿)은 뒷목이 곧게 올라서고‚ 앞 깃은 평면에 놓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 깃은 얼굴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시대에 따른 형태변화가 뚜렷하다. 회장(回裝‚ 回粧)은 저고리 길의 곁 밑과 소매부분에 장식선을 댄 것을 말한다. 회장은 저고리의 구성에 필수적 요소는 아니고‚ 단지 부가적인 의미를 갖는다. 시대에 따른 변화를 알 수 있는 부분이고‚ 저고리를 특색 지우는 일면이기도 하다. 옷고름은 옷의 좌·우에 달아 잡아매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고름`이라 하기도 한다. 홑저고리(赤衫)에는 옷감으로 맺은 단추를 쓰기도 한다. 옷고름도 시대에 따라 형태상의 변천이 있어서‚ 옷고름에 대해서 관찰해도 저고리의 시대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회장저고리의 한 요소가 되고 있다. 섶( )의 기능은 뒷품에 비해 넓은 치수가 요구되는 앞품을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겉섶은 길에 달리는 쪽은 직선으로 봉재되고‚ 완성선에 달리는 쪽은 사선(斜線)으로 구성된다. 섶의 넓이는 깃의 넓이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한다. 진동은 길과 소매의 분계점을 말하고‚ 가슴둘레에 따라서 크기가 달라진다. 진동은 소매의 기점(起點)에 해당되므로 활동의 직접적인 요소가 된다. 진동은 저고리의 변천에 따라 변하는데 소매폭이 좁아지거나 활동의 필요가 있을 때는 진동 밑에 삼각형의 무( )를 덧대어 봉재했다. 저고리의 소매가 직선형이므로 진동선도 언제나 직선상에 있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뒷중심선은 저고리의 뒷길 중심에서 박아진 선이다. 이것은 저고리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기본적 구조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시대에 따라 저고리가 세부적으로 변천되어도 뒷중심선을 이어야 되는 원칙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뒷중심선은 저고리의 구성에서는 가장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저고리길이 또는 옷길이가 된다. 고대는 뒷길 달린 부분을 말한다. 화장은 저고리의 소매길이를 표시하는 것이고 뒷목 중심선에서 소매끝까지의 길이이다. 본 유물은 겉은 화문단(花紋緞)으로‚ 안은 명주로 하였다. 화문단은 모란(牧丹)과 그 외의 소화(小花) 문양으로 구성되는데‚ 모란은 그 화려함으로 인해 `부귀(富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즉 조선초기(朝鮮初期) 이전의 옷고름은 짧고 좁아서‚ 옷을 잡아매는 실용성에 한했던 것 같다. 그것이 점차 넓어져서 오늘날에는 거추장스러울 정도로 넓고 길어져 옷을 잡아매는 기능과 더불어 장식성이 큰 부분이 되었다. 동정(同正)이란 깃의 목주위 (脛部)에 덧붙이는 부분의 이름이고 대개 흰색의 옷감을 사용한다. 끝동(袖端)은 소매 끝에 이색(異色) 천을 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