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너울통(桶)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너울통(桶)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너울을 보관하는 통. 너울통은 조선시대 부녀들이 쓰던 쓰개의 하나인 너울을 보관하는 함(函)을 말한다. 너울은 조선조 여성의 관모(冠帽) 중 조선시대 초부터 말까지 궁중(宮中) 양식 또는 반가(?家) 양식으로 상류계급에서 사용하여 존속해 온 내외용 쓰개 중 대표적인 것이다. 너울의 형태는 너울립 이라는 입자(笠子)와 입자에 드리운 얇은 천‚ 즉 너울드림으로 이루어진다. 너울립은 너울드림 안에 쓰는 모자로‚ 자(紫)·홍(紅) 두 색의 끈을 양편에 한 쌍씩 달아 턱에서 여미게 했다. 너울드림은 위쪽은 좁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넓어지는 포대자루처럼 되어 있다. 검은 색 비단 여덟 폭으로 만드는데 얼굴에 위치하는 부분은 망사 같은 천으로 앞은 투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길이는 어깨가 감추어질 정도로 길며 머리부분에는 서너 개의 꽃 모양을 달기도 했다. 너울통은 관모(冠帽)를 넣어 두는 함인 관모함(冠帽函)의 일종이다. 주로 나무 등을 주재료로 만들었으며‚ 위가 평평한 원추형이다. 크기는 너울보다 조금 크게 하였는데 이는 너울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함이었다. 너울통은 나무로 만들고 그 위에 포를 바른 다음 토분(土粉)을 바르고 옻칠을 하기도 했다. 안에는 종이를 바르고 다시 붉은색 천을 발랐다. 또 장석(裝錫 : 목가구에 부착하는 금속제 장식)을 부착하여 뚜껑을 위아래로 여닫게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류송옥‚ 수학사‚ 1998) 조선시대의 관모(온양민속박물관‚ 1988) 한국복식사사전(김영숙‚ 민문서‚ 1988) <유사·관련 용어> 너울‚ 너울립‚ 전립(氈笠)‚ 관모함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