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박지원간찰

추천0 조회수 8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박지원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박지원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박지원(朴趾源) (영조13년 1737 ∼ 순조5년 1806) 본관은(潘南)人으로 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이다. 의금부도사 양양부사 역임. 홍대용‚ 박제가와 함께 북학파의 영수. 그의 열하일기는 당시 보수파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으나 정치 경제 병사 천문 지리 문학 등 각방면에 걸쳐 청나라의 신문물을 서술하여 실학사상을 소개했다. 또한 그의 한문소설은 독특한 해학으로써 무능한 양반사회를 풍자하였다. 저서로 연암집(燕巖集)이 있다. 歲換己近一旬 而尙未承聞起居狀 其爲慕?何極 伏未審新元 氣候若何 歲後數日 寒威甚酷 京中柴政 一言難形 但兒輩 皆得無? 彭兒充健 新生兒亦頗堅實 是幸 産母雖瘦敗 亦復前樣 而調度日艱?何 昏處?無聞處 雖有一二所聞 皆未合意 是一新歲?端 將未知何以爲計也 三曆送上 一給梁店?何 衙 聞衙 皆得安過云 而一無問字 可?也 嶺繡李時秀  啓二守令中 徐兄入云矣 藥峴校理兄 六月以痢症逝去云 慘極慘極 魚景國 數日前 以宿病殞沒 驚?何言 盖其數年來 自然 盡 無病自盡尤慘尤慘 京寄?無可達者 餘不備 辛丑元月初九日 舍弟燕岩書堂入納 舍弟上平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