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수장시

추천0 조회수 8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수장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수장의 시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이수장(李壽長) (현종2년 1661∼영조7년 1733)‚ 본관은 천안(?安) 자는 인수(仁?)‚ 호는 정곡(貞谷)이다. 사자관으로 찰방 역임. 서학을 종합한 묵지간금을 저술했다. 遠別離 遠別離 古有皇英之二? 乃在?庭之東 瀟湘之? 涇水直下三萬里渙 誰人不言此離苦 日慘慘兮雲冥冥 ??啼烟兮鬼嘯雨 我縱言之 將何補 皇??穹不照余之忠誠 雲憑憑兮欲吼? 堯舜當之亦禪禹 君?臣兮龍爲魚 權歸臣鼠變虎 或言 堯幽囚舜野死 九疑聯綿皆相似 重瞳孤墳竟何是 帝子泣兮緣雲間 隨風兮去無還 慟哭兮遠望見蒼梧之渙山 蒼梧山崩壯士死 湘水絶 竹間之?乃可減 將進酒 君不見黃河之水?上來 ??到涇不復回 君不見高堂明鏡?白髮 朝?靑絲暮成雪 人生得意須盡? 莫使金?空對月 ?生我才必有用 千金散盡還復來 亨羊宰牛且爲樂 會須一飮三百杯 岑?子 丹丘生 進酒君莫停 與君歌一曲 請君爲我側耳聽 鐘鼓饌?不足貴 但願長醉不願醒 古來賢達皆寂莫 唯有飮者留其名 陳?昔時宴平樂 斗酒十千皺歡謔 主人何爲言少錢 徑須沽取對君酌 五花馬千金? 呼兒將出換美酒 與爾同?萬古愁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