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항아리

추천0 조회수 26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란 백색의 태토 위에 투명유를 씌워서 구워낸 자기로‚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백자의 표면색은 우유빛과 같은 유백색(乳白色)‚ 눈과 같은 설백색(雪白色)‚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靑白色) 등 다양한데‚ 대체로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에는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 만들어졌지만‚ 대부분 태토가 무른 연질(軟質)의 자기였고‚ 조선시대 들어 고려백자의 전통에 중국 명 백자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단단한 경질(硬質)의 백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경질 백자가 조선 초기 언제부터 제작되었는지 확실치 않다. 그러나 문헌기록을 통해 대략 15세기 초에는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자는 어떤 안료로 그릇 표면에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 순백자(純白磁)‚ 상감백자(象嵌白磁)‚ 청화백자(靑畵白磁)‚ 철화백자(鐵畵白磁)‚ 진사백자(辰砂白磁)등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유물은 백자에 무늬를 나타낼 때 코발트 안료인 회청(回靑)을 써서 그림을 그린 청화백자이다. 청화백자는 청화안료가 중국으로부터 고가로 구해 썼던 관계로 고급의 자기였고‚ 따라서 법적으로 그 사용을 엄격히 규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청화백자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어려워지자 청화안료를 국내에서 찾으려고 노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청화백자는 15세기 말에 절정을 이루게 되는데‚ 문양은 명 청화백자의 영향이 짙은 보상당초문(寶相唐草文) 계통의 것과 송죽‚ 매죽‚ 매조 등과 같은 회화적인 문양이 시문되었다. 회화적인 문양이 시문된 청화백자에는 당시의 화원이 직접 그린 세련된 필치를 보이는 것도 있다. 그러나 16세기가 되면 청화백자는 그 제작이 줄어들고‚ 회화적인 무늬의 소재는 계속 사용하였지만 이전시기에 비해‚ 화격(畵格)이 떨어지고 있다. 17세기에는 임란과 호란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중국과의 불편한 관계로 인해‚ 청화안료의 수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청화백자 생산은 저조하게 된다. 18세기에는 정치 경제적으로 안정됨에 따라 청화백자가 다시 제작되어 크게 유행하고‚ 사번(私燔)의 허용과 양반수의 증가로 왕실뿐 아니라 문인 사대부 취향의 그릇들도 다수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청화백자에 새롭게 산수문이 등장하고‚ 또한 앞 시대에 유행했던 매죽문이나 송죽문과 더불어 초화문으로 이루어진 사군자 문양도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자기 위에 시 서 화를 함께 묘사하는 방식과 각종 길상문도 등장하였다. 19세기가 되면 청화백자 무늬는 전성기를 맞지만 격조가 떨어지구연부가 더 날카롭게 벌어졌다. 18세기에는 구연부와 굽‚ 높이와 몸체 지름이 거의 같은 달항아리가 제작되었다. 19세기에는 달항아리를 위에서 눌러 놓은 듯하고 구연부가 직립해서 밖으로 기운 형태가 많았다. 본 유물은 원호이며‚ 구연부가 직립해서 약간 밖으로 기울었으며‚ 몸체는 둥근 달항아리 형태와 비슷하다. 기면에는 짙은 청화로 초화문 등이 그려져 있으며‚ 목 밑에는 철화로 간략하고 단순한 여의두문과 비슷한 무늬가 그려져 있다. 유색은 약간의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이다. 고 구성의 묘가 없이 복잡한 무늬가 그려지는 그릇들이 많아진다. 때로는 무늬가 단순화되어 자유분방한 새로운 무늬로 변하고 있다. 무늬의 소재로는 초화‚ 십장생‚ 문자‚ 봉황‚ 학‚ 남종 문인화풍의 산수‚ 신선‚ 포도‚ 파초‚ 연어 등 매우 다양한 내용이 등장한다. 본 유물은 청화백자초화문항아리로 시기는 조선시대 청화백자의 전통을 이어 광복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다. 조선시대 항아리에는 입호(立壺)와 원호(圓壺)가 있는데‚ 입호는 매병형 항아리이고‚ 원호는 구연부가 밖으로 말려 있고‚ 그 지름이 전반적으로 굽의 지름보다 큰 항아리이다. 조선 전기의 원호는 통통한 타원형에 구연부가 밖으로 말린 형태가 많았고‚ 17세기에는 주판알 모양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