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오덕영필 서간

추천0 조회수 9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오덕영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오덕영(吳德泳 1820~?)의 본관은 동복(同福)으로 1864(고종1)년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가 되었다. 그 뒤 성천부사(成川府使)를 역임하고‚ 1894년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임명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오덕영이 스승에게 보낸 서신이다. 사람을 보내 서신을 전하게 되었으며 요사이 몸 건강히 잘 지내시는지 묻고‚ 조 아무개가 찾아왔을 때는 서울의 급박한 사정은 말하지 않았는데 서신을 받고서는 황송무지할 따름이며 심부름꾼 잘못으로 생긴 일은 민망할 일이라 변명을 하고 있다. 이어 이 아무개가 해먹은 것은 온 고을이 다 아는 일이지만 마을에 넉넉히 사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당장 돈을 마련할 방법이 없고 전답이라도 팔아야 하는데 5월 보름 전쯤에 절반이라도 상납하겠다고 적고 있다. 二十一日 專人上書 伏?下鑑矣 伏未審辰下 氣體候一亨萬安 伏慕區區 無任下誠之至 門下生 ?無見? 而東軒諸節安寧 是爲伏幸耳 趙中軍丈 意?下來 在京事勢 ?迫不言 伏知園?與巡營書柬來到 ??無地 向者專人之意 但以得營關故爾 早知此丈下來 豈有專?之弊乎 於此於彼 ?費?太伏?耳 其間擇其知事者三四人 着實擧行之意分付 而若不成效 則渠輩擔當云云耳 旣有園?巡營申飭之令 一邑共知李族喫劫 然鄕中稍饒者 本無貯錢 田庄放賣後 事當出末矣 自然遲緩 而五月望前 似爲折半上納 然來頭未可知也 太少間收刷 則麟次輸送伏計 或有定限者 或有逃走者 縱人搜探 自然延拖耳 餘在?紙 伏達不齊 伏?下鑑上書 戊子 四月 二十七日 門下生 吳?泳 上書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