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벼루

추천0 조회수 21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벼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먹을 갈아 쓰는 문방구. <개설> 벼루는 먹을 가는데 사용하는 받침을 말하며‚ 돌로 만들었진 문방구이다. <역사> 먹과 마찬가지로 벼루도 중국에서 처음으로 발명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벼루는 가야 및 삼국시대의 도연(陶硯)이며‚ 통일신라시대의 목심칠연(木心漆硯)도 남아 있어 일찍부터 다양한 벼루가 만들어 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이전에 생산된 벼루는 그 품질이 그리 좋지 않았는데‚ 고려시대에 중국에 보내는 공물 목록에 종이‚ 붓‚ 먹 등은 있지만 벼루가 없다는 사실에서 이를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서 벼루의 품질이 우수해져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중국 사신들이 선물로 벼루를 요구했음이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벼루의 명칭은 벼룻돌의 재질과 산지‚ 그리고 벼루의 형태 등에 따라 붙여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세 가지를 혼합해서 부르기 때문에 그 명칭은 나열할 수 없을 만큼 많다. 벼루의 형태는 장방형(長方形)‚ 풍자형(風字形)‚ 원형‚ 타원형‚ 팔릉형 등이 있으며‚ 장방형이 기본형이다. 장방형의 벼루를 장방연(長方硯) 또는 사직연(四直硯)이라 부르고‚ 장방형이되 벼루 바닥과 물집이 따로 없이 민자로 만든 벼루를 판자와 같다하여 판연(判然)이라 부른다. 또 두터운 벼룻돌의 밑바닥을 앞쪽에서 뒤쪽으로 비스듬히 파서 손바닥을 집어넣어 들 수 있도록 만든 벼루를 삽수(揷樹)나 초수(抄手)라 부르는데‚ 이러한 삽수식이 발달하여 두께가 7~8cm되는 태사연(?史硯)이 된다. 벼루에 새기는 조각문양은 용‚ 학‚ 거북‚ 봉황‚ 포도‚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불로초‚ 감‚ 물고기‚팔괘(八卦)‚ 십장생(十長生)‚ 소상팔경(瀟湘八景) 등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문자를 돋을새김하거나 오목새김한 것도 있다. 우리 나라의 석연재(石硯材)는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데‚ 무산‚ 위원‚ 평양‚ 장산곶‚ 정선‚ 평창‚ 장단‚ 단양‚ 계룡산‚ 남포‚ 안동‚ 경주‚ 언양‚ 장수‚ 강진 등이 대표적인 산지로 꼽힌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