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향낭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향낭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향을 담는 조그마한 상자 <개설> 향을 넣어서 차는 주머니로 여인들이 노리개 대신에 차고 다니기도 하였으며 방에 걸어두어 은은한 향기를 맡았다. <역사>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살펴보면 부녀자들이 허리띠에 금방울‚ 금향낭(金香囊)을 착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그 원류는 고려시대로 보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향낭과 같이 몸에 지니는 것들은 원래 칼‚ 숫돌과 같이 실제 필요한 물건을 허리에 찼던 것으로부터 유래되었는데 이후 허리띠에 온갖 장식적인 것들은 달은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후 여성들의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면서 허리띠보다 고름이 일반화되자 허리띠에 달았던 것을 고름에다는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노리개는 재료‚ 구성‚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특히 향을 넣은 것은 장식성과 실용성을 같이 지니고 있었다. 향갑은 둥근형의 갑 안에 향을 넣도록 되어있다. 겉은 온갖 보석으로 장식했고‚ 화문(花紋)‚ 십장생(十長生)‚ 박쥐문‚ 문자문(文字紋) 등과 같은 구복(求福)과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글씨를 새겨 넣어 여러 가지 다채로운 모양으로 만들었다. 향갑의 특징은 상하에 작은 고리가 있어 매듭이 상하단을 따로 맺고 향갑 속으로는 끈이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개폐식으로 되어 있기도 하였다. <사회문화적 의의〉 향은 용도에 따라 그 배합 재료가 달랐기 때문에 각각 특이한 냄새를 풍겼다. 일반적으로 방충과 향기를 위하여 종이에 싸서 옷 사이에 보관하였거나 장식용으로 노리개 삼아 몸에 지니고 다녀 향냄새로 해로운 것들의 범접을 막았다. 뿐만 아니라‚ 향은 급할 때 사용하는 구급약 역할도 하였다. 특히‚ 호신향(護身香)은 11종류의 향을 모아 금기 사항을 지키며 길일을 택하여 만드는데‚ 이를 피우면 바로 위로 올라가 귀신을 막고 몸에 지니면 잡병이 없어진다고 믿었다. <유사 관련 용어> 향갑(香匣)‚ 향갑노리개. 향집. 향주머니. 향낭(香囊). 줄향. 발향. 향.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