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두루마기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두루마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우리나라 고유의 겉옷. <개설> 두루마기는 주막의(周莫衣)‚ 주차의(周遮衣)‚ 주의(周衣)라고도 하는데‚ 양쪽 어깨 밑이 터져 3폭이 따로 도는 창의(衣)에 대해‚ 옷 전체가 돌아가며 막혔다는 데서 두루마기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역사> 백제나 신라의 포도 두루마기와 비슷하였을 것으로 보는데 사신도 등을 통해서 삼국이 같은 옷을 입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에 입었던 옷은 저고리보다 약간 길며 소매가 넓은 포인데 아마 이것이 두루마기의 시원이 아닌가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두루마기는 좁은 의미로 조선 말기에 도포(道袍)‚ 창의(灑衣) 등의 제도가 없어지고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 입혀지고 있는 포제(袍制)를 말한다. 두루마기의 소매는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扉式)이며 양 옆에 무를 달아 옆을 막고‚ 길이는 발목에서 20~25cm 정도 올라오게 한다. 이것은 우리의 후리매‚ 쿠리매 등의 계통을 이은 하서인(下庶人)의 포제였으나‚ 그 간편함 때문에 일반화된 것이다. 고려전기에는 백저포(白紵袍)가 일반적인 포로 입혀졌다. 여기에도 띠를 두르고 있어 옛 흔적을 지니고 있다. 이는 후에 조선 초기에의 직령포(直領袍)로 발전하였고 이 직령포가 후기의 두루마기의 원형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 후 직령포가 발전하여 옆 겨드랑이 밑 무가 두루마기보다는 여유가 있다가 옆주름이 없어지고‚ 겹직령포의 등장으로 지금의 두루마기와 같은 형태로 변화하였다. 1895년 을미개혁에서는 관과 민이 동일한 흑색두루마기를 착용하게 하여 두루마기 일색이 되었다. 조선 말기 왕비평상복 발기에도 두루마기가 나오고‚ 양반부인?기생의 사진 등에도 이를 입고 있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전통포가 마지막 포제인 두루마기로 이어져 완성되었음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일제강점기에도 예복의 개념에 두루마기가 들어가고 준용되어왔음을 본다. 요즈음은 차츰 이 두루마기를 벗고 마고자를 입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다시 복고풍이 일어 우리 한복에 두루마기를 갖추려는 흐름이 엿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