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안성객사 (安城客舍)_1995년 이전의 안성객사(명륜여중)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안성객사 (安城客舍)_1995년 이전의 안성객사(명륜여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안성객사에 대한 설명입니다.객사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로 고을 수령이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예를 올리는 정청과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머물렀던 좌우 익실로 구성되어 있다.
확실한 기록은 없으나 고려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이 쓰여진 기와는 조선 숙종 21년(1695)에 고쳐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원래 읍내의 관아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일제시대에 명륜여자중학교로 옮겨졌다가 1995년에 해체·수리되어 지금의 위치에 세워졌다.
업무를 보던 정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에 지붕 옆면에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하고 있는 맞배집의 정청이 가운데 있고‚ 양 옆에는 앞면 2칸·옆면 2칸에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 붙어있는 형식이다. 정청은 기둥 머리 위에만 지붕의 처마를 받치는 공포를 얹은 주심포계 양식이다.
기둥 높이에 비해 기둥 사이의 거리가 좁고 가운데가 가늘게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 기둥 가운데를 약간 굵게 하는 배흘림기법이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해체·수리 때 조사한 결과 일제시대에 옮겨지면서 기둥 아랫부분이 잘려나가고 기둥 사이의 거리도 줄여져서 생긴 현상이다.
이 객사는 우리나라에서 몇 개 남아 있지 않은 고려 주심포계 양식의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