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굽다리접시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굽다리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굽다리 접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의 선사시대 및 고대 용기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그릇의 한 종류이다. 중국식 명칭으로는 ‘두(豆)’라고 하는데 주례(周禮)를 참조하면 나물 혹은 고기를 담는 그릇이며 제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가령 周禮 예기(禮器)편에는 천자로부터 대부(??)에 이르기가지 제례를 지낼 때 사용할 수 있는 제기 두의 개수가 정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도기나 자기의 형태로 많이 제작되지만 청동기나 목기로 제작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굽다리접시의 기본형태를 보면 낮은 접시나 깊은 완‚ 혹은 바리와 같은 배신에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의 다리가 결합된 모습인데 다리를 장식하거나 아니면 그릇의 중량을 가볍게 할 목적으로 삼각형 혹은 사각형의 굽구멍(투창)을 뚫은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굽다리접시는 다른 어떤 기종보다도 그릇 뚜껑이 따로 제작되어 덮이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시기의 같은 유구에서도 뚜껑없는 굽다리접시가 있는가 하면 뚜껑굽다리접시도 함께 출토되고는 한다.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굽다리 접시가 과연 어떠한 역사적 관련성을 가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수렵채집 위주의 생업경제를 영위하던 단계에는 볼 수 없다가 농경사회에 접어들면서 풍부하게 제작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농경사회의 굽다리접시는 농경사회의 제례용기나 혹은 농경민의 개인용 식기로 추측되기도 한다. 굽다리접시의 가장 오래된 예를 찾으면 중국 신석기시대 조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으로부터 8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노관태문화기(老官台文化期)의 백가촌(白家村)유적에서는 세발토기와 함께 낮은굽이 달린 접시가 출토되었다. 중국 신석기 문화중에서도 특히 장강(長江) 하류역 숭택(?澤)문화기의 묘장유구에서는 아주 다양한 형태의 굽다리접시가 보이며 도기 굽다리접시로서 일품은 역시 대문구‚ 용산문화기의 마연흑도계의 굽다리접시일 것이다. 청동기시대 이후부터는 청동기 두(豆) 혹은 굽다리접시가 많이 제작되는데 청동두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상대(商代) 만기(晩期)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주대 이후에 청동제 굽다리접시가 자주 발견되기는 하지만 도제 두가 소멸한 것은 아니며 청동제 두를 흔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나 무덤에 소비하기 위한 명기로서 도제 굽다리접시가 한 대 까지 풍부하게 제작되낟. 특히 도기 굽다리 접시는 보통 뚜껑없는 굽다리접시가 많았는데 청동기로 제작되면서 부터는 뚜껑굽다리 접시가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도제 굽다리접시 역시 뚜껑굽다리 접시가 더 보편적인 형태로 된다. 한국의 경우 굽다리접시는 신석기시대의 토기에서는 그 예를 보 부장된 토기의 한 종류로서 많이 제작되었다. 이와같은 전통은 원삼국시대에 들어와서도 이어지는데 삼한 중 특히 진한과 변한지역의 경우에 그러하다. 마한지역에서는 굽다리접시가 제작되지 않는데 반해 진한과 변한지역의 덧널무덤에서는 자주 와질토기 굽다리접시가 발견되며 이들은 4세기대에 들어와 도질토기 굽다리 접시로 발전한다. 삼국시대에 굽다리접시가 아주 중요한 기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발전한 지역은 역시 신라와 가야지역이다. 고구려지역에서는 굽다리접시라는 기종을 보기 어렵고 백제 지역은 굽다리 접시가 적지 않게 제작되기는 하였지만 신라와 가야 지역만큼 풍부하고 다양하지는 못하다. 백제의 굽다리접시는 대체로 대각이 낮고 투창이 뚫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백제초기의 예는 서울 강남의 석촌동고분군의 움무덤이나 몽촌토성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굽이 낮고 작은 원공이 뚫린는 것과 같은 형식의 회색연질 혹은 회청색경질 굽다리접시 등이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은 낮은 다리의 굽다리접시류들은 배신만으로 보면 세발토기의 배신이나 뚜껑접시와 기형상으로 서로 통하는데 이점이 백제 굽다리접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서울지방에서 시작된 그러한 백제식 굽다리접시는 호서와 호남지방으로 퍼져나간다. 다만 백제지역 안에서도 충남 논산과 금산 등지에서는 대각이 높고 삼각형이나 원형의 투창이 뚫리는 것도 있어 가야지역의 굽다리 접시와 닮은 점을 찾기도 한다. 굽다리접시라는 기종이 가장 많이 제작되고 장기간 다양하게 발전한 지역은 단연 신라와 가야지역이며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보통 고고학자가 토기편년을 할 때에 형식편년의 기준으로 굽다리접시를 선택한다. 원삼국시대의 와질토기나 적색연질토기 굽다리접시가 4세기대로 넘어가면 도질토기로 제작된다. 낙동강을 경계로 하여 이동지역의 신라토기와 이서지역의 가야토기가 양식상으로 구분되어 따로 발전하는 단계는 대개 5세기대에 들어와서부터이고 그 이전 4세기대의 토기는 흔히 ‘고식도질토기’단계라고 표현된다. 4세기대의 토기에 지역적인 양식이 없었던 것은 아니고 신라와 가야 제 지역과 정치세력 권형과 토기 양식이 어느정도 관계했던 5세기대에 비해 그러한 양상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던 단계라고 볼 수 있다. 기원후 4세기대 도질토기굽다기접시의 양식적인 특징을 보면 김해와 부산지역에서는 집시의 가장자리가 한번 꺾여서 마치 뚜껑받이처럼 된 굽다리접시가 유행한다. 기 어려운데 사천 구평리 패총에서 굽다리 접시가 출토된 바 있지만 극히 예외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굽다리접시가 한 시기의 토기유물군 중에 주된 기종으로 등장하는 것은 청동기에서 초기철기시대부터이다. 무문토기 전기까지 올라가는 굽다리접시 중에는 한반도 동북지방에서만 발견되는 편이고 무문토기 중기까지도 주된 기종은 아니었다. 그러나 초기철기시대 특‚ 점토대토기 단계부터는 굽다리접시가 점차 주기종으로서 정착하게 된다. 경남 사천의 늑도 유적이나 해남의 군곡리 패총‚ 광주 신창동 유적 등에서는 일상용 토기의 한 종류로서 그리고 대구 팔달동 유적에서는 분묘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