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덕수간찰

추천0 조회수 8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덕수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덕수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덕수(李德壽) (현종14년 1673∼영조20년 1744)‚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인로(仁老)‚ 호는 서당(西堂)이다. 박세당·김창흡의 문인. 숙종39년에 증광문과급제. 수찬·지평·이조판서 겸대제학·우참찬 겸동지경연사 역임. 遠書見及 慰何可量 信後歲改 仰?益膺太祉 弟致身煖房 不知戶? ?雪埋山 看書 日覺有味 此亦言者之原餉耳 書末所諭 爲之一笑 我國人心?躁 不能耐靜 ?憂旣除 自當內訌 況國運所關 寧有一日無黨之理 此非台一人之私憂 亦復?何 若弟者 半生守拙 每見譏於兄 豈有心念 及於世路名論哉 偶見金台 ?有可恥 ?及於陳疏之際 因此逢? 豈是?念 然弟之所爲 亦殊不緊 而事已過矣 其又?何 聞兄政令頗慈善 關西異於他路 不宣專尙柔道 幸以子産水火之喩 及武侯治蜀之政 加意?何 偶有所聞 因書漫及耳 昨春間 在東邑 承見 兄在南時覆札 至今留置?案間 每披覽 爲之噴飯滿案矣 ?及許太歲儀 ?荷不容名言 餘因入京便 凌遽 艸謝不旣 伏?台照狀上 癸卯元月初二日 弟德壽頓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