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명기여자인물상

추천0 조회수 31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명기여자인물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는 철분의 함량이 거의 섞이지 않은 곱게 수비된 백자 태토로 만들어 투명유를 씌워 재벌구이한 흰색자기이다. 백자는 그 위에 어떤 안료로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서 순백자‚ 상감백자‚ 청화백자‚ 철화백자‚ 진사백자 등의 종류로 분류하며 백색에 따라서 청백자‚ 순백자‚ 유백자‚ 난백자 그리고 회백자 등으로 나눈다. 순백자의 소지에 투명유를 바른 것이 이상적이나‚ 소지가 회색인 경우와 유가청 또는 황색인 경우는 철분의 작용으로 미묘한 변화가 일어난다. 백자는 중국 남북조시대 후기(6세기경)에 출현하여 당대에는 하남과 화북 방면에서 많이 생산됐고‚ 특히 형주요가 유명하다. 송대에는 상아와 같은 색의 정요백자가 유행했으며‚ 화남의 제요에서는 유약이 청색을 띤 청백자(靑白瓷)가 양산되었다. 원대 경덕진에서는 구부요라 부르는 백자가 제작되고‚ 명대의 어기를 생산하기 위한 관요에서는 아름다운 백자가 생산되었다. 원이나 명대 이후 백자는 유하에 무늬를 그린 청화(靑華)와 백자의 유상에 그림을 그린 오채가 성행되어 백자는 더욱 양산되었다. 명말 청시대 복건성의 덕화요에서는 인형과 문방구 등이 백자로 생산되기도 하였다.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이 유물도 바로 백자로 만들어진 사람모양의 인형이다. 이는 죽은 사람의 내세의 생활을 위하여 무덤에 함께 묻는 명기(明器)로 쓰인 것으로 명기란 `신명(神明)의 기(器)`라는 뜻으로 죽은 자가 생전에 사용한 기구 ·인물 ·동물 등을 모조하여 사자(死者)와 함께 분묘에 넣어 매장하던 것이다. 무덤 속에 넣기 때문에 주로 흙을 구워 만들었다. 조선시대에는 사람 ·말 ·항아리 등의 명기를 만들었다. 고래의 풍습인 순장(殉葬) 대신 명기를 부장한다는 뜻도 있어 이것을 묻으면 죽은이의 영혼이 위로를 받는다고 믿었다. 명기를 만드는 풍습은 조선 인조 이후에는 그 실례를 찾아볼 수 없다. 본 유물은 사람모양을 하고 있는 명기로 남자상이다. 길고 아래쪽이 퍼진 옷을 입고 두 손을 가슴 앞으로 가져와 읍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옅은 푸른 기가 도는 회백색 유약이 입혀진 16-17세기의 전형적인 백자이고 머리와 눈‚ 눈썹과 입에 철사(鐵砂)를 칠했다. 얼굴 전체를 덮을 만큼 큰 귀의 표현과 머리 위로 우뚝 솟아 있는 상투의 표현‚ 오똑한 코의 모양과 눈썹과 입까지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재미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