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송태회필 서간

추천0 조회수 2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송태회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송태회(宋泰會 1872-1940)의 자는 평숙(平叔)‚ 호는 염재(念齋)로 전라남도 화순(和順) 출생이다. 1888년 진사‚ 1900년 박사시(博士試)를 거쳐 성균관에서 수업하였다. 1901∼1907년 중국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귀국‚ 1908∼1910년 《대한매일신보》 기자로 활약하였으며‚ 국권피탈 이후는 육영에 뜻을 품고 낙향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1918년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에 오산고보(吾山高普)를 설립‚ 학생들에게 민족사상을 고취하였는데‚ 이 학교는 고창고보로 개칭된 후에도 민족교육적 학풍 때문에 타지방의 뜻있는 학도들이 많이 전입해 와 학생운동의 본거지가 되었다. 서예와 그림에도 뛰어났는데‚ 전라남도 순천의 송광사(松廣寺) 등 곳곳에 글씨 및 그림이 남아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송태회가 왕수환에게 보낸 답장이다. 머리를 조아려 절합니다. 이달 17일에 보낸 혜서(?書)는 신년 이래의 희소식으로 이 감사함을 어찌 다하겠습니까? 여러분 체후 더욱 만왕하시고 매천공 댁내(宅內)도 다 편안하신지 듣기를 원하며 또한 비옵니다. 저는 정월 13일에 어느덧 소상(小祥)을 지내니 애통함과 사모함이 더욱 깊습니다. 오직 다행한 것은 부친께서 우선 편안히 계신 것입니다. 매천집은 이미 몇 부가 출간되었다고 하니‚ 여러분들의 원하는 힘으로 오늘날에 이루어진 것을 알겠습니다. 제가 앞 편지에 다시 더 연조(捐助)하겠다고 말하였는데 끝내 못한 것은 과연 세운(世運)이 이와 같이 모집니까? 매천집(梅泉集)에 제사(題辭)나 또는 서발문(序跋文)은 비록 흉내를 내보고자 하나 붓을 놓은 지 이미 오래이고‚ 세상에 마땅히 지을 만한 자가 먼저 지을 것 좋겠습니다.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이니‚ 어찌 제가 부처 머리에 똥칠을 하겠습니까? 그러나 생각해 보면 선생이 평소에 비말(批抹)을 잘하셨는데 감히 몇 구(句)의 제사(題辭)로써 바치니 지하의 혼령(魂靈)이 아마 웃으면서 도말(塗抹)할 것이므로 요즘 글하는 사람 안중(眼中)에 좋게 보이든 나쁘게 보이든 그것은 헤아릴 겨를이 없습니다. 다음으로 미루고 황미(荒迷)하여 차례없이 올립니다. 임자년(1912) 음 정월 25일 애자(哀子) 송태회 배사 혜서는 전일 집을 나설 때 도중에서 마침 받았습니다. 이제 송광사(松廣寺)에 있으면서 갑자기 지었으니 낯이 붉어짐을 깨닫습니다. 보신 후에 보내려면 보내 주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동간록(同刊錄) 속에 저의 본관을 동복(同福)으로 잘못 썼으니 여산(礪山)으로 고쳐 주시고‚ 양씨(梁氏)는 제주(濟州)로 고쳐 주는 것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