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 홈
개
- 저작물명
- 개
- 저작(권)자
-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 출처
- 공표년도
- 창작년도
- 2015-02-01
- 분류(장르)
- 사진
UCI 로고
- 요약정보
- <정의> 굽은 없으나 뚜껑이 덮여 있는 접시 <발달과정 및 역사> 삼국시대부터 나타나는 토기로 지역에 따른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백제의 뚜껑접시는 공주도읍 후에 유행을 보이는 독특한 용기인 세발토기의 다리를 떼어낸 모습이며‚ 대체로 꼭지가 붙지 않는다. 가야지역과 신라지역의 뚜껑접시는 이들 지역의 뚜껑굽다리접시에서 굽다리를 떼어낸 양식으로 뚜껑굽다리접시에서 굽다리를 떼어낸 양식으로 뚜껑굽다리접시 이후에 나타나며 꼭지가 달려있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굽다리 접시의 뚜껑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으로 몸통의 높이가 낮고 작은 그릇 위에 얕은 뚜껑이 덮인 형식이다. 밑바닥은 둥그렇게 도드라져 있으며‚ 뚜껑받이가 곧추선 것과 곧추서지 않고 올라가 몸통의 곡선을 잇는 것처럼 약간 안쪽으로 휘어진 것이 있다. 뚜껑받이에는 아랫단에 뚜껑을 받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뾰족하게 돌출된 단이 돌려져 있다. 표면이 완만하고 드림새가 밖으로 외반되거나 안쪽으로 휜 경우도 있다. 뚜껑의 형식은 크게 꼭지가 다릴것과 달리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는데‚ 백제‚신라‚가야 등 지역에 따른 특징을 보인다. 마로산성 출토 개는 완형으로 납석제품이다. 납석제 소호와 한세트를 이루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꼭지는 보주형이고‚ 기신은 꼭지에서 八자형으로 비스듬히 내려와 살짝 내만하며 드림부를 형성하고 있다. 기신 외면에는 2조의 침선대가 2열 돌아가고 있다.
- 저작물 파일 유형
- 저작물 속성
- 1 차 저작물
- 공동저작자
- 1유형
- 수집연계 URL
- http://www.emuseum.go.kr
- 분류(장르)
- 사진
- 원문제공
-
원문URL